매일신문

한국 자살률 OECD 3년 연속 1위, 하루 36명씩 극단적 선택

자살 사망자 수 전년 대비 줄었지만 10~30대 자살률 증가
지난해 코로나19 사망자는 대구·경북이 가장 많아

OECD 주요국 연령표준화 자살률. 통계청 제공
OECD 주요국 연령표준화 자살률. 통계청 제공

지난해 한국의 자살률이 또다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1위를 기록했다. 전체 자살 사망자 수는 줄었지만 10대와 20대의 자살률은 크게 올랐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0년 사망원인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고의적 자해(자살) 사망률(인구 10만명 당)은 25.7명으로, 전년 대비 1.2명(4.4%) 감소했다. 자살 사망자 수는 모두 1만3천195명으로 전년 대비 604명(4.4%) 줄었다. 1일 평균 자살 사망자 수는 36.1명이다.

자살률 소폭 감소했음에도 한국의 자살률은 2018년 이후 3년 연속 1위로,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OECD 국가 간 연령표준화 자살률(OECD 표준인구 10만 명당 명) 비교 시 OECD 평균 10.9명에 비해, 한국은 23.5명(2020년 기준)으로 2배 이상 높다. 비교 대상 국가 중 자살률이 20명대인 국가는 한국을 제외하면 리투아니아(21.6명)가 유일하다.

지난해 연령별 자살률을 보면 70대(-16.0%)와 60대(-10.7%), 50대(-8.4%), 40대(-5.8%) 등 40대 이상에서 자살률이 감소한 가운데 20대(12.8%)와 10대(9.4%) 30대(0.7%) 등 30대 이하에서는 자살률이 올랐다.

연령별로 보면 자살은 10대, 20대, 30대의 사망 원인 중 압도적 1위다. 40대, 50대에서 2위, 60대에서 4위로 조사됐다.

특히 20대 여성 자살률이 16.6명에서 19.3명으로 16.5%나 증가했으며 10대 남성 자살률은 5.5명에서 6.5명으로 18.8% 눈에 띄게 늘어났다.

한편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 수는 950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시도별 사망률(인구 10만 명당)로는 대구가 7.7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북(2.8명), 서울(2.1명) 순이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