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오후 대구 달성군 구지면의 '노사평화의 전당'. 노동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전시하고 있는 이곳은 평일임을 고려하더라도 썰렁한 분위기가 감돌았다. 주차장부터 한산했고 2시간 가까이 둘러보아도 가족단위 관람객 3명이 전부였다. 이곳 관계자에 따르면 이날 방문객은 20여 명 수준이었다.
노동계와 대구시의 갈등 속에서 개관한 '노사평화의 전당'의 하루 평균 방문객이 15명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에 대한 노동계의 싸늘한 시선도 여전히 극복해야 할 과제다.
지난해 11월 문을 연 노사평화의 전당은 달성군 국가산단 내 1만6천500㎡ 부지에 연면적 5천169㎡, 지상 3층, 지하 1층 규모로 들어섰다. 2017년 고용노동부 공모에 선정돼 사업비 200억원(국비 100억원, 시비 88억원, 특별교부세 12억원)이 투입됐다.
노동·산업역사관, 교육·모의체험관 등을 갖춰 한국의 노동‧산업의 역사나 노동법에 관해 공부할 수 있고 노동과 관련된 다양한 체험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이지만, 시민들의 발길은 좀처럼 이어지지 않고 있다.
지난 11월 관람객은 약 500명을 기록했으나 개관식 행사에 참석한 인원을 제외한 실제 관람 인원은 200명 남짓이다. 12월엔 400여 명으로 다소 늘었지만 지난달에는 286명이 방문한 데 그쳤다.
휴관일과 공휴일 등을 참작해도 3개월간 하루 평균 방문객이 15명꼴 밖에 되지 않는 셈이다. 2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 시설로는 상당히 저조한 이용률이다.
시설 운영 주체인 대구시는 코로나19 확산세가 거세지는 가운데 도심에서 다소 거리가 먼 입지조건 탓에 아직은 방문이 저조할 수밖에 없단 입장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먼저 시설 활성화를 위한 홍보체계를 구축하고 2026년까지 노동자 복지센터를 지어 방문객을 늘릴 방침이다.
이른바 '노사 평화'의 한 축을 담당해야 하는 노동계의 외면도 풀어야 할 숙제도 지목된다.
앞서 대구 시민‧노동단체는 시설 명칭에 들어가는 '노사평화'라는 단어에 대해 반대의견을 피력했다. 노사 관계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심어주고, 사측과 분쟁하는 노동자의 목소리를 지워버린다는 논리다.
이길우 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장은 "노사평화의 전당을 한 번도 방문하지 않았고, 관심도 없다. 대구시가 노사평화, 상생을 말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200억원을 들여 기념관을 짓기 보단 차라리 노동자들이 쉴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이 낫다"고 주장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노동자를 위한 것으로, 노조의 참여를 꾸준히 유도할 생각"이라며 "명칭에 논란이 많았던 건 알고 있다. 추후 시민들 의견을 듣거나 여론 조사 등을 거쳐 개명이 필요하다면 충분히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