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새 정부 첫 국무총리로 김부겸 현 총리를 유임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총리 거취를 두고 여야 정치권과 관가에서 설왕설래가 이어졌다.
윤 당선인 측은 14일 첫 국무총리로 김 총리를 유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관련 보도에 대해 "검토된 바 없다"고 밝혔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이날 여의도 당사 브리핑에서 "김 총리는 덕망 있고 존경하는 분이다. 그러나 총리 유임 관련해서 논의된 바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총리 후보군에 포함되느냐는 질문에는 "새 총리는 저희가 새 정부 출범 시기에 맞춰서 함께 일할 수 있도록 인선 작업이 이뤄질 것"이라며 사실상 가능성을 일축했다.
윤 당선인 측은 선을 그었으나 일각에서는 여소야대 국면에서 '괜찮은 카드'라는 목소리도 나왔다.
김 총리가 유임되면 국회 인사청문회나 국회의 임명 동의 표결이 필요 없다. 극단적 여소야대 국면 속에 총리 인준으로 인한 여야 갈등을 피할 수 있고, 야당과 '협치' 의미도 부각할 수 있는 카드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원희룡 인수위원회 기획위원장은 이날 CBS 라디오에서 '김 총리 유임설'에 대해 "너무 좋은 방안"이라며 "어제 저녁에 다른 자리에 가 있었는데 그 얘기를 듣고 개인적으로 가슴이 뛰더라"고 강조했다.
이어 "다들 걱정하는 게 민주당이 국회에서 총리 인준을 안 해 줄 것(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김부겸 총리가 저를 한나라당으로 끌어들인 사람이라는 개인적 인연을 떠나서 아주 허를 찌르는"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유임설이) 좋으냐 나쁘냐를 생각하면 무조건 최상의 안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또 윤 당선인과 대학 시절부터 알고 지낸 사이라는 점도 유임설의 근거 중 하나로 꼽힌다.
하지만 여당과 총리 측에서는 불쾌한 기색이 역력한 모습이다.
윤 당선인 측이 '통합'을 내세워 여권 압박을 위한 도구로 김 총리를 활용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김 총리 측도 유임설에 대해 '부적절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총리실 고위관계자는 이날 매일신문과의 통화에서 "총리 거취와 관련한 보도는 설명할 가치가 없을 것 같다. 코로나19 폭증 속에 임기 내내 방역에 집중하고 국정에 전념했는데 사실상 상황이 더 여의치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차기 정부 출범 전 국정을 마무리하고, 인수인계까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총리가 사실상 차기 정부에서는 유임할 생각이 없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읽힌다.
앞서 조선일보는 이날 새 정부 국무총리로 김 총리를 유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