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새 정부 첫 국무총리로 김부겸 현 총리를 유임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총리 거취를 두고 여야 정치권과 관가에서 설왕설래가 이어졌다.
윤 당선인 측은 14일 첫 국무총리로 김 총리를 유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관련 보도에 대해 "검토된 바 없다"고 밝혔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이날 여의도 당사 브리핑에서 "김 총리는 덕망 있고 존경하는 분이다. 그러나 총리 유임 관련해서 논의된 바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총리 후보군에 포함되느냐는 질문에는 "새 총리는 저희가 새 정부 출범 시기에 맞춰서 함께 일할 수 있도록 인선 작업이 이뤄질 것"이라며 사실상 가능성을 일축했다.
윤 당선인 측은 선을 그었으나 일각에서는 여소야대 국면에서 '괜찮은 카드'라는 목소리도 나왔다.
김 총리가 유임되면 국회 인사청문회나 국회의 임명 동의 표결이 필요 없다. 극단적 여소야대 국면 속에 총리 인준으로 인한 여야 갈등을 피할 수 있고, 야당과 '협치' 의미도 부각할 수 있는 카드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원희룡 인수위원회 기획위원장은 이날 CBS 라디오에서 '김 총리 유임설'에 대해 "너무 좋은 방안"이라며 "어제 저녁에 다른 자리에 가 있었는데 그 얘기를 듣고 개인적으로 가슴이 뛰더라"고 강조했다.
이어 "다들 걱정하는 게 민주당이 국회에서 총리 인준을 안 해 줄 것(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김부겸 총리가 저를 한나라당으로 끌어들인 사람이라는 개인적 인연을 떠나서 아주 허를 찌르는"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유임설이) 좋으냐 나쁘냐를 생각하면 무조건 최상의 안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또 윤 당선인과 대학 시절부터 알고 지낸 사이라는 점도 유임설의 근거 중 하나로 꼽힌다.
하지만 여당과 총리 측에서는 불쾌한 기색이 역력한 모습이다.
윤 당선인 측이 '통합'을 내세워 여권 압박을 위한 도구로 김 총리를 활용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김 총리 측도 유임설에 대해 '부적절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총리실 고위관계자는 이날 매일신문과의 통화에서 "총리 거취와 관련한 보도는 설명할 가치가 없을 것 같다. 코로나19 폭증 속에 임기 내내 방역에 집중하고 국정에 전념했는데 사실상 상황이 더 여의치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차기 정부 출범 전 국정을 마무리하고, 인수인계까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총리가 사실상 차기 정부에서는 유임할 생각이 없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읽힌다.
앞서 조선일보는 이날 새 정부 국무총리로 김 총리를 유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