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인구 감소, 코로나19 등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5년간 127만개의 일자리가 생겨났다"며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성과를 치켜세웠다.
홍 부총리는 13일 통계청의 '3월 고용동향'이 발표된 뒤 페이스북을 통해 "지난 5년간 정부의 일자리 정책을 돌이켜보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국정과제로 삼아 총력 대응해 왔다"며 이렇게 평가했다.
그는 "2019년부터 생산연령인구(15∼64세)가 감소하고 무인·자동·비대면화 등 노동력을 덜 필요로 하는 산업구조 변화가 가속화했다"며 "특히 2020년에는 코로나라는 전대미문의 위기로 인해 영세 소상공인, 임시·일용직 등 고용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여태껏 경험하지 못한 고용 충격이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2017년 5월∼2022년 3월 5년간 127만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된 것은 이번 정부의 성과"라고 강조했다.
홍 부총리는 "5년간의 노력이 쌓여 최근 고용률(계절조정)은 1999년 6월 통계 작성 이후 최고 수준"이라고 밝혔다. 계절조정 고용률은 지난 2월 68.4%로 역대 최고였고, 지난달에는 68.3%로 역대 두 번째로 높았다.
그는 "청년 고용률도 꾸준히 증가하며 역대 최고 기록을 매월 경신 중"이라며 "이는 청년 희망 온, K-디지털 트레이닝, 청년 고용 지원 등 정책 노력의 결과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청년들의 체감 고용 상황 등에 대해선 아쉬움을 나타냈다.
홍 부총리는 "실제 현장에서 우리 청년들이 체감하는 고용상황과 도소매업·숙박음식업, 임시·일용직 등 코로나 취약계층·업종의 고용 상황은 여전히 어렵다"고 말했다.
이날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83만1천명 늘었다. 같은 달 기준으로 2002년 이후 20년 만에 증가 폭이 가장 컸다.
홍 부총리는 "분기로 따지면 1분기에 100만1천명 증가했는데 이는 2000년 이후 최고치"라며 "작년 3월 플러스 기저가 있었음에도 80만명 이상의 취업자 수 증가가 나타난 것은 우리 고용의 회복 흐름이 강하게 이어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적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