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돼지고기 가격이 최대 20% 저렴해진다. 승용차 개별소비세(개소세) 30% 인하 조치는 연말까지 6개월 연장되고,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 등 1세대 1주택자의 올해 보유세는 세 부담이 급증하기 전인 2020년 수준으로 돌아간다.
정부는 최근 생활물가가 크게 치솟자 30일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의 민생안정대책을 확정했다.
추 부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글로벌 에너지·식량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서민 체감물가·민생경제에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며 "이에 정부가 총 3조1천억원 규모의 민생안정대책을 긴급히 마련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최근 가격 상승 압력이 높은 돼지고기와 식용유(대두유·해바라기씨유), 밀 ·밀가루, 계란가공품 등 식품원료 7종에 연말까지 할당관세(0%)를 추가 적용하기로 했다. 이에 수입 돼지고기의 경우 최대 20%의 원가 인하 효과를 볼 것으로 정부는 예상했다.
커피·코코아 원두 수입 때 붙는 부가가치세는 2023년까지 한시 면제한다. 병·캔 등으로 개별포장된 김치와 된장, 고추장, 간장 등 가공식료품 부가가치세(10%)도 2023년까지 면제하기로 했다.
정부는 6월 중 시행을 목표로 할당관세에 관한 규정과 부가가치세법 시행규칙 등을 개정할 계획이다.
정부는 또 1세대 1주택 실수요자의 보유세 부담을 가격 급등 이전인 2020년 수준으로 되돌리는 방안도 내놨다.
보유세를 부과할 때 올해에 한해 올해 공시가 대신 2021년 공시가를 적용하고, 종부세는 2021년 공시가를 적용하면서 공정시장가액비율을 추가로 조정해 세 부담을 2020년 수준으로 되돌리기로 했다.
거래세의 경우 일시적 2주택자에 대해 취득세 중과(8·12%) 배제 인정 기한을 1년에서 2년으로 늘려주기로 했다. 정부는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도 재검토할 계획이다.
생애 최초 주택구입 가구를 대상으로는 3분기부터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상한선을 80%로 올려주기로 했다.
청년·신혼부부에게는 최대 50년간 갚을 수 있는 초장기 모기지 상품을 8월 중 출시할 예정이다.
생계비 부담을 줄이는 측면에선 올해 2학기 학자금대출 금리를 1학기 수준인 1.7%로 동결키로 했다.
아울러 승용차 개소세 30% 인하 조치(5→3.5%)는 6개월 연장해 올해 말까지 유지하기로 했다. 통신사들을 대상으로는 6만원 안팎의 5세대 이동통신(5G) 중간요금제를 3분기 중 출시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