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재명 '눈물'·유동규 '폭로'…'대선자금 수사'에 정치권 술렁

여권 단순 국정 지지율 카드 아닌 비정치인 출신 尹대통령 정계 개편 신호탄 분석
여야 모두 '대선자금' 자유롭기 힘들어…檢도 검수완박 돌파구 마련할 듯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민주연구원에 대한 검찰 압수 수색이 진행 중인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 앞에서 취재진에게 입장을 밝히던 중 잠시 울먹이며 말을 잇지 못하고 있다. (사진 왼쪽)/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본부장이 24일 오전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리는 대장동 개발 사업 로비·특혜 의혹 관련 속행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민주연구원에 대한 검찰 압수 수색이 진행 중인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 앞에서 취재진에게 입장을 밝히던 중 잠시 울먹이며 말을 잇지 못하고 있다. (사진 왼쪽)/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본부장이 24일 오전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리는 대장동 개발 사업 로비·특혜 의혹 관련 속행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검찰이 유력한 차기 대권주자인 제1야당 대표의 대통령선거자금 수사에 나서자 정치권이 술렁이고 있다. '대선자금'은 여야 모두 자유로울 수 없는 민감한 사안이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수사의 파괴력을 고려하면 여권이 단순히 지지부진한 국정지지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꺼내든 임기응변 성격의 '카드'는 아니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여소야대 국면을 단숨에 역전할 수 있는 정계개편의 시발점이이라는 분석까지 나온다.

지난 19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최측근인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을 전격 체포한 검찰은 24일 서울 여의도 민주당 중앙당사에 위치한 김 부원장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다시 시도했다. 앞서 법원이 지난 22일 8억4천700만원의 불법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김 부원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하자 이 대표의 대선자금 수사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이에 이 대표는 24일 민주당 중앙당사 앞에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국민 여러분께서 이 역사의 현장을 잊지 마시고 퇴행하는 민주주의를 꼭 지켜주시길 바란다"고 말하며 눈시울을 붉혔다.

하지만 불법정치자금이 흘러나온 대장동 개발 비리의혹의 핵심인물인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이 연일 이 대표의 민낯을 고발하겠다는 발언을 쏟아냄에 따라 검찰 수사에는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치권에선 검찰 수사가 결국은 이 대표를 직접 겨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검찰이 지난 대선에서 47.83%의 득표율을 기록한 거대야당 대표와의 진검승부도 각오하지 않고 정치권에서 판도라의 상자로 불리는 '대선자금'을 건드렸겠느냐는 의견에 힘이 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권 관계자는 "이재명 대표는 말할 것도 없고 형평성을 맞추기 위해 검찰이 여당의 대선자금과 관련해서도 일정부분 수사를 진행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정치권 전반이 대선자금 후폭풍에 휩쓸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정치권에선 여야에 휘몰아 칠 대선자금 수사 후폭풍이 정계개편의 지렛대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시나리오까지 언급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기성 정치권과 거리가 있는 본인의 강점을 십분 활용해 정치권 새 판짜기를 시도할 경우 여론의 호응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논리에서다.

정치권 관계자는 "지난 대선을 강타한 '윤석열 바람'의 핵심은 권모술수와 부정부패가 판치는 기존 정치와는 완전히 다른 법치에 대한 국민적 기대였다"며 "여권 핵심이 야당으로 완전히 기운 여소야대 정국을 돌파할 수 있는 묘수를 지난 대선과정에서 찾을 공산이 크다"고 분석했다.

한편 검찰은 지난 2003년 여야를 막론한 대대적인 대선자금 수사로 국민적 지지를 받았고 수사를 이끈 당시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장은 '국민 검사'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 지난해 이른바 '검수완박'(검찰수사권 완전 박탈) 논란으로 위상에 치명적인 상처를 입은 검찰 입장에서도 '부활'을 위해서는 대선자금 수사에서 성과를 낼 필요가 있는 분석이 나온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