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박지원 "조상준 사의, 尹 대통령이 국정원장 '인사안' 손 들어줬기 때문"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이 16일 오전 검찰의 압수수색을 마치고 여의도 자택을 나서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이 16일 오전 검찰의 압수수색을 마치고 여의도 자택을 나서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기록 삭제·조작 의혹 등을 수사 중인 검찰은 이날 박 전 원장과 서욱 전 국방부 장관의 자택을 압수수색했다. 연합뉴스

박지원 전 국정원장이 돌연 사퇴를 결정한 조상준 전 국정원 기조실장의 사임 배경과 관련해 "(윤석열 대통령이) 국정원장의 손을 들어주니 조 실장이 국정감사를 앞두고 전날 사표를 제출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조 전 실장의 사퇴를 두고 온갖 추측이 쏟아지는 가운데 국정원장과 인사를 담당하는 실장 간 '인사 알력설'을 원인으로 지목한 것이다.

박 전 원장은 27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에서 "윤 대통령의 인사는 결국 망사였다. 국정원에서부터 참사가 일어났다"면서 "좌동훈, 우상준 하는 윤석열 대통령의 최측근이고 기조실장이라는 막중한 자리를 가져왔는데, 이런 사태를 보고 전임 국정원장으로서 대단히 부끄럽다. 국정원에서부터 (인사) 참사가 일어났다"고 했다.

그는 "국정원 2, 3급 인사를 해야 하는데, 조 전 실장이 자신의 안을 청와대(대통령실)로 올렸다. 그런데 해외에 나갔다 온 김규현 국정원장이 보니 자기 생각대로 안 돼서 다시 올린 것"이라며 "청와대(대통령실)에서 고심하다가 그래도 국정원장의 손을 들어줬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이 결정을 잘했다고 본다"며 "어떤 조직이든 문제가 있으면 측근보다는 상급자 의견을 일단 들어주고 조치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전 원장은 조 전 실장이 대통령실에 사의 표명을 하고, 대통령실에서 국정원장에게 알려준 것을 두고는 "기조실장도 패싱하고 대통령실에 냈고, 대통령실도 기조실장한테 물어보지도 않고 패싱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현직 국정원장은 기조실장, 직원들로부터도 패싱당하고 대통령실로부터도 패싱당하고 더욱이 그 마지막 통보를 비서관이 했다"며 "대한민국 국정원을 그렇게 취급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 당시 첩보 관련 보고서 무단 삭제 의혹과 관련해 전날 국정감사에서 국정원 담당 국장이 '박지원 전 원장의 지시 이전에, 본인이 근무하는 동안 국정원장으로부터 직접적인 첩보 삭제 지시는 받은 적 없다'고 답한 것에는 "국정원의 교묘한 장난이 시작됐다"고 지적했다.

박 전 원장은 "저는 어떤 경우에도 청와대로부터 삭제 지시를 받은 적도 없고, 그 누구에게도 삭제 지시를 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제가 국정원 출신이 아니기 때문에, 저분은 현 원장, 현 정부에서 국정원장이 됐으니까 저렇게 교묘하게 언어를 희롱해 마치 제가 삭제 지시를 했다는 뉘앙스가 나타나게 말을 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고(故) 이대준 씨 사망 직후 열린 청와대 회의에서 서훈 전 안보실장이 월북 쪽으로 지침을 내렸고 국정원 등이 그대로 움직였다는 검찰의 수사 방향에 대해서는 "심야 회의에서 서훈 실장으로부터 저는 그런 지시를 받은 적이 없다"며 "그날은 조각 첩보를 맞추다가 '국방부에서 정확한 것을 정리해서 내일 다시 하자'고 해서 23일 오전 10시에 (관계장관회의가) 소집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전 원장은 당시 특별취급정보(SI) 첩보에 '월북'이란 단어가 들어가 있었다는 김 원장의 국감 증언에 대해서는 "저는 심야 회의 때나 거기에서 '월북'이라는 단어는 기억에 없다. 솔직히 말해서 SI가 뭔지도 몰랐다"고 말했다.

그는 'SI에 월북이라는 단어가 있었는지 기억이 안 나는 건지, 없었다는 건지'를 재차 묻는 진행자 질문에는 "만약 월북이라는 것을 말하면 문재인 정부가, 우리가 더 이익"이라면서도 "그렇지만 사실대로 얘기하면 제가 기억이 없다"고 답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