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장연, 내일부터 지하철 시위 재개…서울시 "더 이상 관용 없다"

박경석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 대표가 2일 오전 서울 지하철 4호선 삼각지역 승강장에서 지하철 탑승을 시도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경석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 대표가 2일 오전 서울 지하철 4호선 삼각지역 승강장에서 지하철 탑승을 시도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과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단독 면담 성사 여부로 신경전이 이어지던 가운데, 양측의 단독 면담이 무산됐다. 당장 20일부터 전장연의 지하철 탑승 시위가 재개될 전망이다.

19일 전장연은 서울시에 다른 장애인단체들과 함께 오 시장을 만나는 형식의 합동면담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통보했다. 서울시는 당초 이날 오후 4시 장애인 단체 비공개 합동면담을 진행하기로 했으나 단독 면담이 불발돼 전장연이 참여하지 않기로 하면서 합동면담도 취소됐다.

전장연과 서울시, 서울교통공사는 면담 방식 조율을 위해 이달 초부터 5차례 만나 대화를 나눴지만 면담 방식의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전장연은 법원의 조정안 수용 여부, 리프트 추락 사고로 사망한 장애인들에 대한 사과 등을 의제로 올린 채 오 시장과 단독 면담을 해야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서울시는 다른 장애인 단체들 의견도 함께 들어야 한다는 의견을 고수해왔다.

이날 면담이 불발되면서 20일부터 지하철 탑승 시위가 재개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동안 전장연은 오 시장과의 대화를 전제로 19일까지는 시위 대신 선전전만 진행해왔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지하철이 특정 단체의 주장을 관철하기 위한 시위의 도구가 되는 것을 절대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더 이상 관용은 없다"고 강력 대응을 예고했다.

또 전장연 시위에 따른 사회적 손실 규모가 4450억원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목적지에 정시 도착하지 못한 승객(약 1060만명)과 지하철을 이용하지 못한 승객(약 150만명)의 피해를 추산한 수치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