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국내 기준금리 아래로 떨어졌다. 지난달 은행채와 예금 등의 금리가 소폭 내려간 영향이다.
15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4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3월(3.56%)보다 0.12%포인트(p) 내린 3.44%로 집계됐다. 이는 한국은행 기준금리(3.50%) 아래다. 신규 코픽스가 한은 기준금리를 밑도는 것은 2010년 공시를 시작한 이후 2013년 4월, 2014년 7월 이후 세 번째다.
같은 기간 잔액 기준 코픽스는 3.71%에서 3.73%로 0.02%p 올랐다. 2019년 6월부터 새로 도입된 신(新)잔액기준 코픽스는 3.09%로 전월보다 0.01%p 올랐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다.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상품 금리 변동이 반영된다. 코픽스가 떨어지면 그만큼 은행이 적은 이자를 주고 돈을 확보할 수 있다는 뜻이다.
시중은행은 16일부터 신규 주담대 변동금리에 이날 공개된 코픽스 금리를 반영할 예정이다. 4월 코픽스가 하락하면서 주담대 금리도 내려갈 전망이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 4대 시중은행의 주담대 혼합형(고정) 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는 12일 기준 연 3.680∼5.796% 수준이다. 2021년 8월 직후 수준까지 내려간 것이다.
주담대 변동금리(신규 취급액 코픽스 연동)의 경우 최저 수준이 5.080%에서 4.090%로 0.990%p 내려왔다. 지표금리 코픽스의 0.780%p(4.340%→3.560%) 하락에 가산금리 축소와 우대금리 확대가 더해진 결과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