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방 거주가 의료 불평등 이유 될 수는 없다"

14일, '지역 공공의료인력 확충 및 국립 의과대학 신설을 위한 국회포럼'
안동·목포·순천·창원·공주대 등 5개 국립대학, 13명 지역 국회의원 공동
의대정원 증원, 권역별 국립대학 의과대 신설 등 요구하는 건의문 채택

5개 국립대학과 국회의원들이 14일 국회에서 열린 포럼에서 지역 공공의료인력 확충과 의과대 신설을 촉구하고 있다. 안동대 제공
5개 국립대학과 국회의원들이 14일 국회에서 열린 포럼에서 지역 공공의료인력 확충과 의과대 신설을 촉구하고 있다. 안동대 제공

지방 5개 국립대학과 지방 출신 국회의원들이 공동으로 의대정원 증원과 권역별 국립대 의과대학 신설 등을 통해 지역 간 의료 서비스 격차 해소 방안 모색에 니섰다.

국립안동대학교를 비롯해 목포대, 순천대, 창원대, 공주대 등 국립대학과 경북 안동·예천 출신 김형동 의원을 비롯해 국회의원 15명은 지난 14일 국회 도서관에서 '지역 공공의료인력 확충 및 국립 의과대학 신설을 위한 국회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 참석자들은 의료 취약지역 내 중증 외상·응급·만성 질환 환자들이 생존을 위해 상급종합병원을 찾아 타 지역까지 이동하는 열악한 현실을 널리 알리고 의대 정원 증원, 국립대 의과대학 신설 등 정부의 역할을 주문했다.

우리나라 공공의료 분야 권위자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김윤 교수와 함께 지역 간 의료 서비스 격차 해소 방안 등을 모색하고, 보건복지부에 의대정원 증원, 권역별 국립대학 의과대 신설 등 요구하는 건의문 채택, '국립 의과대학 신설'과 '지역 공공의료 확충'을 외치는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이날 김윤 교수는 '지역 간 의료 불평등 해소를 위한 지역국립의대 설립 방안 등'을 주제로 발표를 통해 상급종합병원(3차 병원)이 부족한 지역의 환자 사망률이 증가하는 통계 결과 등을 토대로 지역 간 의료 불평등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해결책으로 국립 의과대학 신설 및 지역거점병원 네트워크에 기반한 지역완결형 의료체계 구축이 절실하다"고 제시했다.

5개 국립대학과 국회의원들이 14일 국회에서 열린 포럼에서 지역 공공의료인력 확충과 의과대 신설을 촉구하고 있다. 안동대 제공
5개 국립대학과 국회의원들이 14일 국회에서 열린 포럼에서 지역 공공의료인력 확충과 의과대 신설을 촉구하고 있다. 안동대 제공

발표 이후 이어진 패널토론에서 각 대학의 의료 전문가들은 '경제적 효율성을 이유로 의대 신설 대신 기존 의대의 정원 증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국민의 보건권을 중시하고 있는 헌법 정신을 몰각한 것"이라며 "기존 의대의 정원을 늘리는 방식은 의료취약지역 주민들이 겪고 있는 고통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아니다"라는 공통된 의견을 제시했다.

이날 5개 국립대학은 이날 포럼에서 채택한 공동건의문과 관련 논의 내용을 보건복지부에 전달하고, 전남·경북·경남·충남 등 의료취약지역에 거주하는 지역민들의 안타까운 현실에 관심을 기울이도록 요청할 계획이다.

이날 포럼을 준비한 송하철 목포대 총장은 "지역에는 타지역 상급종합병원까지 이송되는 과정에서 숨을 거두는 중증 외상, 응급 환자들이나 수도권 병원을 찾아 한 달에 몇 번씩 오전 5~6시부터 일어나 하루를 기차나 버스에서 보내는 분들이 많다"며 "이것이 우리가 오늘 여기에 모인 이유"라고 밝혔다.

정태주 안동대 총장은 "앞으로 누구도 지방에 산다는 이유로 불합리한 의료 불평등을 겪지 않도록 5개 국립대학은 지역 공공의료인력 확충에 뜻을 모아주신 국회의원, 지역민들과 함께 국립 의과대학 신설을 적극 추진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현재 국회에는 의료취약지역 내 거주하는 지역민들을 위해 발의된 국립대학 의과대학 설치 관련 여러 특별법이 계류 중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