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성각결막염을 동반해 '눈곱 감기'라고도 불리는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유행이 확산하고 있다.
22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국내에서 자주 발생하는 급성호흡기감염증 9종에 대한 표본감시 결과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환자가 외래, 입원환자에서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차 의료기관 77곳을 표본감시한 결과 호흡기 외래환자 중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환자는 ▷29주 차(7월 16∼22일) 13.7% ▷30주 차 21.2% ▷31주 차 24.1% ▷32주 차 28.5% 등으로 계속 증가했다.
특히 전국 2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 220곳을 표본감시한 결과 올해 32주 차에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입원한 환자는 636명으로, 코로나19 유행 이전인 2018년(253명)의 약 2.5배, 2019년(292명)의 2.2배로 늘었다.
32주 차 입원 환자 중 6세 이하는 89.0%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아데노바이러스는 호흡기 비말, 환자 접촉, 감염된 영유아의 기저귀를 교체하는 과정 등에서 감염될 수 있다.
영유아들이 함께 생활하는 공간에서 감염된 아이가 쓴 수건이나 장난감을 사용하거나, 수영장 등 물놀이 시설에서 감염될 수 있을 정도로 전염력이 강하다.
아데노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발열이나 기침, 콧물 등 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며, 눈곱이 끼거나 눈이 출혈되는 유행성각결막염과 구토, 설사 등 위장관 감염 증상도 함께 나타난다.
심한 경우 출혈성 방광염과 폐렴 등으로 악화할 수 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영유아에게 올바른 손 씻기 방법과 씻지 않는 손으로 눈 비비지 않기, 기침예절을 교육해야 한다"며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엔 마스크를 착용하고 보육 시설에 등원시켜야 하며, 보육 시설과 유치원 등 다중이용시설에서는 소독과 함께 충분한 환기를 통해 위생관리에 힘써달라"고 당부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