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IAEA "日 오염수 정보 한국과 공유"…첫날부터 안전기준 현장 감시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이 지난달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후쿠시마 원전오염수 해양투기저지 대책위원회-국제원자력기구 면담에서 위성곤 위원장의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이 지난달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후쿠시마 원전오염수 해양투기저지 대책위원회-국제원자력기구 면담에서 위성곤 위원장의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이르면 이달 24일 개시되는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 계획과 관련, 해양 방출 첫날부터 안전 기준 부합 여부에 대한 현장 감시·평가 활동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IAEA는 22일 라파엘 그로시 사무총장 명의의 성명에서 "배출 시작 당일부터 그 이후 쭉 현장에서 안전 기준에 계속 부합하는지 보장하기 위해 이들 활동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IAEA 직원들이 그곳에서 일하고 있다"고 밝혔다.

IAEA는 후쿠시마 현장 상주를 일본 정부와 합의해 올해 7월 초 후쿠시마 제1 원전에 IAEA 현장 사무소를 개소한 상태다. 이 단체는 "실시간, 준(準)실시간 감시 자료의 제공을 포함, 국제사회가 사용할 수 있도록 가용한 자료를 공개할 것"이며 방류가 시작되는 대로 추가적인 최신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을 대상으로 낸 그로시 총장 명의의 별도 성명에서도 방류 관련 정보를 지속해 공유하겠다고 강조했다. IAEA는 이 성명에서 "최근 한국 정부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문제를 놓고 정보 공유를 하기 위한 양측 간 정보 메커니즘(IKFIM)을 구축하기로 합의했다"면서 "방류에 대한 정보를 정기적으로 한국에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IKFIM 구축 합의와 관련해선 "지난달 그로시 사무총장이 방한해 일본의 해양 방류 계획을 검토한 종합보고서를 발표한 데 따른 후속 조치"라며 "이번 합의는 앞으로 수주, 수개월, 수년간 투명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후쿠시마 제1원전에 마련한 IAEA 현장 사무소에 한국 전문가들이 방문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도 약속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