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2028 대입제도개편안이 발표된 가운데 고등학교 내신을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것에 대해 학생·학부모 등 10명 중 6명이 찬성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인 강득구 의원과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대입제도개편안 관련 교육주체 설문 분석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이들은 지난 10월 18~24일 전국 중·고등학교 학생(1만1천163명), 중·고등학생을 둔 학부모(1만7천762명), 교직원(8천169명), 기타(67명) 등 총 3만9천591명 대상으로 교육부의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안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지난 10일 교육부는 2028 대입제도개편안을 통해 대입 수능의 시험 범위로 선택과목을 없애고, 국어는 '문학, 독서와 작문, 화법과 언어'를 , 수학은 '대수 (현 수학 Ⅰ 해당), 미적분 Ⅰ (현 수학 Ⅱ 해당), 확률과 통계'를 모두 응시하는 통합형 수능을 치르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러한 계획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51%가 부정적으로 응답(동의하지 않음 33%, 별로 동의하지 않음 18%)했고, 나머지 49%(동의 24.2%, 어느 정도 동의 24.8%)는 긍정적으로 응답했다.
또한, 미래 사회의 변화와 대학 수학능력시험의 취지에 근거해 볼 때 장기적으로 대입 수능 시험 성적은 어떤 방식으로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지 묻는 질문엔 '절대평가 산출 방식 확대' 응답이 42.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현재 체제 유지' 도40.1%로 비슷한 응답률을 보였고, '상대평가 산출 방식 확대'는 17.7%에 그쳤다.
다음으로 현재 대입 수능 시험 범위에서 선택 과목을 제외하고 공통 과목만 응시하도록 하는 방안에 대해선 전체 57.1%(동의함 30.4%, 어느 정도 동의함 26.7%)가 긍정적으로 응답했고, 42.9%(동의하지 않음 25%, 별로 동의하지 않음 17.9%) 는 부정적으로 응답해 앞선 질문과 마찬가지로 찬반 의견이 비등했다.
고교 내신을 석차에 따른 상대평가를 폐지하고, 성취도에 따른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것에 대해서는 전체 64.2%(동의함 38.4%, 어느 정도 동의함 25.9%)가 동의했고, 나머지 35.8%(동의하지 않음 20%, 별로 동의하지 않음 15.8%)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마지막으로 서울 소재 주요 대학에서 정시 전형으로 40% 이상 선발하도록 하는 교육부의 권고 조치를 폐지하는 것에 관해선 52.5%(동의함 29.6%, 어느 정도 동의함 23%)가 긍정, 나머지 47.5%(동의하지 않음 28.8%, 별로 동의하지 않음 18.7%)는 부정적으로 응답했다.
이는 전날인 25일 교육부가 발표한 학부모 정책 모니터단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와는 사뭇 달랐다. 해당 조사에선 1천294명의 응답자 중 71%가 2028 대입개편안에 긍정 입장을 밝혔다.
강득구 의원은 "학부모 정책 모니터단 보다 일반 학부모를 대상으로 했으면 좀 더 신뢰성을 높일 수 있었다는 아쉬움이 있다"며 "교육정책은 이해관계가 첨예한 만큼 대상, 설문 문항이나 방식에 따라서 결과가 다를 수 있다. 교육부의 개편안처럼 상대평가가 그대로 유지된다면, 학생들은 지나친 경쟁 속에 빠질 수 밖에 없고 고교학점제의 취지를 달성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형식적 절차가 아닌 교육주체들과 함께 다양한 토론 등을 통해 충분한 숙의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정 지지도 48.3%…50%선 '붕괴'
정청래 "국힘, 정상회담 평가절하 이해 안돼…나라 망치라는 건가"
대통령실, 이진숙 방통위원장 직권면직 검토
'대여 투쟁' 단일대오로 뭉치는 국힘…조경태 포용 가닥(?)
"아빠, 왜 돈 준다는 아저씨 뽑았어요?"…이준석이 올린 동영상 화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