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식당 등 외식 업체에서 판매하는 소주와 맥주의 물가 상승률이 대형마트 등 유통업체의 판매가 상승률의 약 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식당 등에서 판매하는 맥주(외식) 소비자물가지수는 114.66으로 전년 대비 6.9% 올랐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를 겪던 1998년(9.7%) 이후 25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대형마트·편의점 등 유통업체에서 판매하는 가공식품 맥주 물가 상승률은 2.4%였다. 이와 비교하면 식당 판매가 오름폭은 3배 수준이다.
소주도 상황은 비슷하다. 식당 등 외식 업체에서 판매하는 소주의 물가 상승률은 7.3%로 유통업체의 소주 물가 상승률인 2.6%보다 2.8배 높았다. 이는 2016년(11.7%) 이후 7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정부는 소비자들의 소주 가격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이달 1일부터 '기준판매비율'을 도입해 국산 주류에 대한 세금 부과 기준을 낮췄다. 기준판매비율은 소주 출고가 중 판매·관리비 등을 감안해 과세표준 계산 시 차감하는 일정 비율을 뜻한다.
이에 따라 소주 출고가가 약 10% 하락했다. 하이트진로는 지난해 12월 참이슬·진로 출고 가격을 10.6% 내렸고 롯데칠성음료도 처음처럼·새로 출고가격을 각각 4.5%, 2.7% 인하했다.
출고가가 떨어지자 대형마트와 편의점도 소주 가격을 낮췄다. 이마트는 360㎖ 용량의 참이슬 후레쉬·오리지널 가격을 기존 1천480원에서 1천330원으로 10% 인하했다. 이어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도 가격을 낮췄다.
주류업체가 출고 가격을 내리면 외식업체 납품가도 그만큼 낮아지지만 자영업자가 소주값을 낮추기는 쉽지 않은 분위기다. 원자재 가격 상승, 인건비 상승 등 매출 자체가 감소해 부담이 커진 탓이다.
외식업계 관계자는 "외식업은 식재료, 인건비, 임대료 등 안 걸쳐진 게 없을 정도로 물가 영향을 많이 받는다"며 "전반적인 물가 자체가 낮아진 게 아니어서 납품가 인하만으로 주류 가격을 낮출 것이라고 생각하기에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