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외식 물가 상승률이 전체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 물가 상승률이 전체 평균을 웃도는 현상은 33개월째 지속되고 있다.
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 물가 상승률은 3.8%로 전체 평균(3.1%)보다 0.7%포인트(p) 높았다. 이런 현상은 2021년 6월부터 계속되고 있다.
품목별로는 외식 세부 품목 39개 중 27개가 평균을 웃돌고 있다. 햄버거가 8.2%로 가장 높았고 이어 ▷김밥(6.4%) ▷냉면(6.2%) ▷도시락(6.2%) ▷비빔밥(6.1%) ▷오리고기(외식)(6.0%) ▷떡볶이(5.7%) ▷치킨(5.4%) 순이었다.
농·축·수산물 물가 상승률은 11.4%로 전체 평균의 3.7배 수준을 보였다. 농·축·수산물 물가 오름폭은 6개월째 전체 평균을 상회했다.
특히 과실의 물가 상승률은 40.6%로 13.1배를 기록했다. 과실의 경우 9개월째 이어져 부담이 가중되는 상황이다.
세부 품목을 보면 귤이 78.1%로 전체 평균의 25.2배였다. ▷사과(71.0%)는 22.9배 ▷복숭아(63.2%)는 20.4배▷배(61.1%)는 19.7배▷감(55.9%)은 18.0배 ▷참외(37.4%)는 12.1배였다.
반면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1.9%까지 내려가 전체 평균보다 1.2%p 낮아지며 대폭 둔화했다. 이는 2021년 11월(-0.4%) 이후 27개월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1%대를 보인 것은 2021년 7월(1.8%) 이후 31개월 만이다.
가공식품 세부 품목 73개 중에서는 38.4%인 28개만이 전체 평균을 웃돌았다. 소금이 20.9%로 가장 높고 이어 ▷설탕(20.3%) ▷수프(14.9%) ▷초콜릿(13.9%) ▷파스타면(13.5%) ▷잼(12.9%) ▷차(12.4%) ▷아이스크림(10.9%) 등 순이었다.
이에 반해 라면은 -4.8%로 물가 상승 폭이 가장 낮았고 ▷김치 -4.5%, ▷유산균 -4.4%, ▷시리얼 -3.8% ▷부침가루 -3.6% ▷소주 -1.1% 등이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