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대구경북 소비자물가가 12% 이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구 소비자물가상승률은 7개 특·광역시 중 2위 기록했다.
10일 동북지방통계청이 발표한 '최근 5년간 대구경북 소비자물가변화'에 따르면 대구 소비자물가지수는 111.78(2020=100)로 2018년 대비 12.9% 상승했다. 전국 상승률과 비교해보면 0.3%포인트(p) 높은 수치다.
대구의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인천(13.1%)에 이어 7개 특·광역시 중 두 번째로 높았다. 그 뒤로 ▷광주(12.5%) ▷서울(12.2%) ▷부산(12.1%) ▷대전(11.9%) ▷울산(11.4%) 순으로 이어졌다.
5년간 연평균 상승률은 2.4%였다. 동북지방통계청은 코로나 19와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으로 최근 3년간 상승률이 11.8%(2021년 2.6%, 2022년 5.2%, 2023년 3.5%)로 높게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생활필수품을 대상으로 작성해 사실상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114.16으로 2018년인 5년 전보다 15% 올랐다. 전국 상승률 14.4%보다 0.6%p 높은 수준이다. 이는 특·광역시 중에서 가장 높다. ▷서울 14.8% ▷인천 14.7% ▷광주 14.1% ▷부산·대전 13.3% ▷울산 13%가 그 뒤를 이었다.
신선식품지수는 120.66으로 22% 상승해 전국 상승률 23.6%에 비해 1.6%p 낮았고 7개 특·광역시 중 네 번째로 높았다.
품목 성질별로 보면 2018년 대비 상품은 14.8%, 서비스는 10.9% 상승했다. 상품 중에서는 ▷전기·가스·수도 32.6% ▷농·축·수산물 19.8% ▷공업제품 11.8% 올랐다. 서비스는 개인 서비스 18.1%, 집세 1.6% 상승했지만 공공서비스는 0.4% 하락했다.
경북의 소비자물가지수도 5년 사이 12.7% 상승해 9개 도 가운데 세 번째로 낮았다. 생활물가지수 역시 13.8%, 신선식품 지수는 21.7% 오르면서 상승률이 가장 낮았다.
품목 성질별로는 전기·가스·수도가 32.6% 올라 가장 상승률이 높았다. 농·축·수산물 20.9%, 공업제품 12.2%, 서비스 10.1%로 뒤를 이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24일 취임 후 첫 대구 방문…"재도약 길, 시민 목소리 듣는다"
李대통령, 24일 대구서 타운홀미팅…"다시 도약하는 길 모색"
'갭투자 논란' 이상경 국토차관 "배우자가 집 구매…국민 눈높이 못 미쳐 죄송"
"이재명 싱가포르 비자금 1조" 전한길 주장에 박지원 "보수 대통령들은 천문학적 비자금, DJ·盧·文·李는 없어"
나경원은 언니가 없는데…최혁진 "羅언니가 김충식에 내연녀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