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인하도 전국 주택 가격 하락세는 막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과 이달 28일 두 차례에 걸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연이은 기준금리 인하에도 주택시장은 당분간 관망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지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부동산 시장을 살리기 위해 과감한 금리 인하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달 넷째 주(25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2% 하락했다. 지난 조사에서 27주 만에 하락(-0.01%)으로 돌아선 전국 아파트 가격은 이번 주도 하락세를 보였다. 서울 아파트 가격은 36주 연속 상승했지만 지난 조사(0.06%)보다 줄어든 0.04% 상승에 그쳤다.
서울은 지난달 둘째 주 0.11%로 정점을 찍은 뒤 줄곧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은 "가격 급등에 따른 피로감과 대출규제의 영향으로 매수자들이 관망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같은 기간 대구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0.12% 하락하며 54주 연속 하락했다. 하락폭은 지난 조사(-0.12%)와 같았으나 전국에서 가장 큰 하락폭이었다. 지역별로는 동구(-0.16%) 효목·방촌동, 수성구(-0.15%) 범어·신매동, 달성군(-0.12%) 유가·화원읍의 하락이 두드러졌다.
지난 조사에서 0.04% 하락했던 경북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이번 조사에서 0.06% 하락하면서 하락폭을 키웠다. 대구경북뿐만 아니라 부산(-0.06%), 경남(-0.04%), 대전(-0.03%) 등 서울과 경기를 제외한 시도는 대부분 하락했다.
전세가격은 전국이 지난주보다 0.01% 상승한 가운데 대구와 경북은 각각 -0.04%, -0.03%를 기록했다. 대구의 전세가격은 구별로 등락을 거듭하며 지역별로 상이한 양상을 보였다. 지난 조사에서 각각 -0.15%, -0.01%를 기록한 수성구와 달서구의 전세가격은 각각 보합(0.00%), 상승(0.01%)으로 돌아섰다. 지난 조사에서 보합(0.00%)을 보인 동구의 전세가격은 -0.04%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0.03% 상승했던 달성군도 -0.05%로 돌아섰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수도권 주택 가격이 약보합을 보이고 거래량이 크게 꺾이자 한국은행이 경기 둔화 우려를 고려해 기준금리를 인하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두 차례에 걸친 연이은 기준금리 인하에도 당분간 주택 거래시장의 숨 고르기와 수요자 관망이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문형배 "선출권력 우위? 헌법 읽어보라…사법부 권한 존중해야"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