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오후 경남 하동군 옥종면에서 발생한 산불이 확산하면서 산불 2단계가 발령된 가운데 주불을 잡지 못해 산림당국이 야간 진화작업에 돌입했다.
산림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7시 기준 하동군 옥종면 회신리 산불 진화율은 87%를 기록했다.
산림당국은 주간에 진화헬기 36대와 장비 72대, 인력 753명을 투입해 진화에 나섰으나 주불을 잡지 못했다.
일몰로 인해 산불 현장에 투입됐던 헬기는 모두 철수한 상태로, 산림청 등은 인력 518명 등을 동원해 야간 진화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현재 산불 영향 구역은 약 65.1㏊이며 총 화선은 약 4.6㎞다. 이 가운데 약 4㎞가 진화 완료돼 잔여 화선 길이는 약 0.6㎞로 파악됐다.
산림청 관계자는 "가용한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해 야간산불 진화 체제로 전환하고, 안전사고가 없도록 주의를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앞서 이날 낮 12시 5분께 하동군 옥종면 회신리 한 야산에서 불이 났다.
불이 난 곳은 지난달 말 발생한 산청 산불이 번진 지점과 약 3㎞ 정도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산림당국은 오후 1시 45분을 기해 산불 1단계(피해 예상 면적이 10∼50㏊ 미만으로 추정되는 산불)를, 이날 오후 3시 30분을 기점으로 산불 2단계를 발령해 현재 유지 중이다.
산불 2단계는 예상되는 피해 면적이 50∼100㏊ 미만일 때 발령된다.
현재 산불 현장에는 최대 풍속 8㎧의 북북동풍이 불고 있다.
하동군은 회신마을과 양지마을 등 인근 주민에게 옥천관 및 옥종고등학교로 대피하라고 안내했다.
현재 인근 주민 326명이 대피했고, 이중 214명은 대피소에 머무르고 있다.
대형 산불을 겪은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산불이 나면서 주민들은 다시 불안에 떨었다.
산림청에 따르면 산불이 시작된 곳 인근에 있던 70대 남성이 자체적으로 불을 끄다 양손에 화상을 입고 병원으로 이송됐다.
산림당국은 이 남성이 예초기로 작업하다 산불이 난 것으로 추정하고, 불을 모두 끄는 대로 정확한 화재 원인과 피해 면적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