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 위기와 함께 미래 농업에 대한 위기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국내 과수 농업의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스마트 농업 표준 모델 개발을 기술 경쟁력을 앞세운 안동시가 이끈다.
스마트 농업의 현장 정착을 위해 농림축산식품부가 추진하는 노지 스마트 농업 활용 모델개발 사업의 '사과 스마트농업 표준모델 종합실증 및 최적화 과제'에 안동시가 최종 선정된 것.
총 사업비는 37억 5천만원, 3년 9개월의 연구기간을 투입해 국내 스마트과수원 표준모델을 개발·확산시키기 위한 대규모 실증 무대가 안동지역을 중심으로 추진된다.
이번 연구는 (재)한국미래농업연구원이 주관하고, 경북대·경상국립대·전남대, ㈜에피넷, ㈜성부산업, ㈜와이젠글로벌 등 대학·ICT기업·농기계 기업 등 8개 기관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추진한다.
실증 시험용 과수원을 조성한 뒤, 관수․병해충․재해 대응 등 주요 요소기술을 고도화하고, 실제 농업 현장에 최적화된 스마트과수원 표준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이에대해 과수농가들과 업계는 큰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안동시 임하면의 한 농가는 "관수 시기만 정확해도 품질이 크게 향상된다"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업계 역시 자율주행 방제기, 드론 진단 등 후속 비즈니스 기회를 주목하고 있다.
주관 연구책임자인 (재)한국미래농업연구원 김균장 본부장은 "이번 과제가 성공하면 스마트 과수농업의 진입 장벽을 완화하고, 배·복숭아·포도 등 타 작목에도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될 것"이라고 밝혔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이번 과제는 향후 안동시가 노지 스마트농업 지원 거점단지로 지정되고, 규모와 저변을 확대해 나가기 위한 마중물이 될 것"이라며 "기후위기 대응과 우리 농업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 스마트농업 육성·발전에 더욱 힘쓰겠다"고 전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한덕수 돌풍, '어게인 노무현'?…영남이 선택한 호남 후보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