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K-반도체 소부장 특화밸리 조성' 사업 대선공약으로 건의

구미 중심 반도체 소재·부품 생태계 고도화… 초순수·폐자원 재활용 클러스터 포함
"용인·평택 소자단지 뒷받침할 소부장 허브로 육성"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DB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DB

경상북도가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전략으로 '차세대 K-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특화밸리 조성' 사업을 제21대 대선 지역공약으로 건의했다.

21일 경북도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기존 구미 반도체 특화단지를 중심으로 소재·부품 공급망의 안정화와 산업 생태계 고도화를 목표로 하는 경북의 반도체 산업 육성 전략이다.

경북도가 건의한 '차세대 K-반도체 소부장 특화밸리'는 국내 반도체 소재부품 산업의 핵심 거점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제안한 사업이다. ▷반도체 특화단지 COMPLEX 구축 ▷초순수 플랫폼 센터 조성 ▷폐자원 재활용 산업 클러스터 조성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COMPLEX 구축사업은 반도체 소재부품의 제조·설계·시험이 가능한 테스트베드 및 미니팹(Fab)을 중심으로, 수도권 소자 공정 클러스터와의 유기적 연계를 통해 공급망 안정화를 달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초순수 플랫폼 센터는 SK실트론의 초순수 국산화 플랜트와 연계해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공정용 초순수 정제기술을 자체 개발하고, 관련 기업 지원과 전문 인력 양성을 병행할 계획이다.

폐자원 재활용 산업 클러스터는 반도체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부가가치 폐자원에 대한 R&D 인프라와 기업 육성을 목표로 하며, 지속가능한 전자산업 생태계 구축의 토대를 마련하는 역할을 맡는다.

앞서 정부는 2023년 7월 경기 용인·평택과 경북 구미를 각각 반도체 소자 및 소부장 특화단지로 지정해 반도체 산업을 집중 육성키로 했다.

구미는 이후 소재·부품 시험평가센터 구축, 반도체 특성화 대학 설립, 고신뢰성 시스템반도체 실증 인프라 조성 등 굵직한 정부 공모사업에 연이어 선정됐다.

또 SK실트론, LG이노텍 등 대기업의 대규모 투자도 이어지고 있어, 이번 건의가 정부 정책에 반영될 경우 구미가 국내 반도체 소부장 산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는 데 한층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혁준 경북도 메타AI과학국장은 "반도체는 대한민국의 국가경제를 떠받치는 핵심 산업"이라며 "경북 구미가 소재·부품 분야의 세계적인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