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괴물 산불' 잔재물 녹조 막는다…임하댐·남강댐 '중점 관리지역' 지정

안동·청송·영양 등 하천 유입부 52곳에 산불 방지막 설치
퇴비·하수 유입 차단, 녹조 제거선·수상 퇴치밭 등 현장 대응 강화
녹조 발생 시 '댐·보·하굿둑' 연계 방류…주민 조류독소 노출 조사도 병행

환경부 배연진 물환경정책과장이 27일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기자실에서 사전 예방, 사후 대응, 관리체계 강화라는 3대 추진전략과 10대 추진과제를 포함한 2025년도 녹조 중점 관리 방안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환경부 배연진 물환경정책과장이 27일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기자실에서 사전 예방, 사후 대응, 관리체계 강화라는 3대 추진전략과 10대 추진과제를 포함한 2025년도 녹조 중점 관리 방안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지난 3월 발생한 '괴물 산불' 잔재물이 하천을 타고 녹조를 유발하지 않도록 경북 지역 하천 유입부에 방지막을 설치하고, 관련 권역을 '녹조 중점 관리지역'으로 추가 지정한다.

환경부는 2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여름철 녹조 중점 관리방안'을 발표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경북 안동·청송·영양 등 산불 피해지역의 하천 유입부 52곳에 산불 잔재물 유입 차단을 위한 방지막이 설치한다. 특히 산불 피해권에 포함된 임하댐과 남강댐 권역은 새롭게 녹조 중점 관리지역으로 지정됐다.

이와 별개로 6개 주요 댐 유입구에는 녹조의 원인이 되는 영양염류 유입을 막는 차단설비도 설치한다.

녹조 발생의 또 다른 원인으로 지목되는 강변 야적 퇴비도 관리 대상이 확대됐다. 기존 4대강 유역 외에도 황룡강, 지석천 등 주요 지류 하천까지 포함됐다. 현재까지 확인된 약 1천500건의 퇴비는 소유주가 수거하거나 덮개 설치 등의 조치를 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농어촌 마을 5곳을 대상으로는 하수를 공동 처리하는 시범사업도 추진된다. 각 가구에서 방류하던 하수를 마을 저류시설에 모아 공공하수처리장으로 이송하는 방식이다.

현장 대응도 강화된다. 녹조 제거선은 작년보다 7대 늘어난 총 35대가 운용되며, 녹조와 영양염류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수상 퇴치밭'도 안동댐과 섬진강댐에 더해 영주댐에도 설치한다. 또한 댐의 저층수를 저장해 필요 시 분사하거나, 전기방전을 통해 산화물질을 발생시켜 녹조를 제거하는 신기술도 시험 적용할 예정이다.

녹조가 발생했을 때 댐·보·하굿둑 연계 운영을 통해 물을 흘려 보내는 식으로 녹조를 줄이는 방안은 올해도 시행한다. 작년 6월 남강댐과 창녕함안보 등을 연계 운영한 결과 낙동강 물금·매리지점 남조류 세포 수를 1㎖당 2천300개에서 930개로 줄인 바 있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올해는 사전에 '시나리오'를 마련해 댐·보·하굿둑에서 방류를 결정하기까지 시간을 줄이는 방안을 추진한다. 녹조가 가장 심한 8∼9월 낙동강 등 녹조가 자주 발생하는 하천 주변으로 공기 중 조류독소가 있는지 확인하는 조사 역시 올해도 실시한다. 특히 이번에는 하천 주변 주민 콧속에서 조류독소가 검출되는지를 함께 조사할 예정이다.

이는 환경단체가 낙동강 중하류 녹조 발생지 주민 콧속에서 조류독소가 검출됐다고 주장한 데 따른 것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