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3월 발생한 '괴물 산불' 잔재물이 하천을 타고 녹조를 유발하지 않도록 경북 지역 하천 유입부에 방지막을 설치하고, 관련 권역을 '녹조 중점 관리지역'으로 추가 지정한다.
환경부는 2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여름철 녹조 중점 관리방안'을 발표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경북 안동·청송·영양 등 산불 피해지역의 하천 유입부 52곳에 산불 잔재물 유입 차단을 위한 방지막이 설치한다. 특히 산불 피해권에 포함된 임하댐과 남강댐 권역은 새롭게 녹조 중점 관리지역으로 지정됐다.
이와 별개로 6개 주요 댐 유입구에는 녹조의 원인이 되는 영양염류 유입을 막는 차단설비도 설치한다.
녹조 발생의 또 다른 원인으로 지목되는 강변 야적 퇴비도 관리 대상이 확대됐다. 기존 4대강 유역 외에도 황룡강, 지석천 등 주요 지류 하천까지 포함됐다. 현재까지 확인된 약 1천500건의 퇴비는 소유주가 수거하거나 덮개 설치 등의 조치를 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농어촌 마을 5곳을 대상으로는 하수를 공동 처리하는 시범사업도 추진된다. 각 가구에서 방류하던 하수를 마을 저류시설에 모아 공공하수처리장으로 이송하는 방식이다.
현장 대응도 강화된다. 녹조 제거선은 작년보다 7대 늘어난 총 35대가 운용되며, 녹조와 영양염류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수상 퇴치밭'도 안동댐과 섬진강댐에 더해 영주댐에도 설치한다. 또한 댐의 저층수를 저장해 필요 시 분사하거나, 전기방전을 통해 산화물질을 발생시켜 녹조를 제거하는 신기술도 시험 적용할 예정이다.
녹조가 발생했을 때 댐·보·하굿둑 연계 운영을 통해 물을 흘려 보내는 식으로 녹조를 줄이는 방안은 올해도 시행한다. 작년 6월 남강댐과 창녕함안보 등을 연계 운영한 결과 낙동강 물금·매리지점 남조류 세포 수를 1㎖당 2천300개에서 930개로 줄인 바 있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올해는 사전에 '시나리오'를 마련해 댐·보·하굿둑에서 방류를 결정하기까지 시간을 줄이는 방안을 추진한다. 녹조가 가장 심한 8∼9월 낙동강 등 녹조가 자주 발생하는 하천 주변으로 공기 중 조류독소가 있는지 확인하는 조사 역시 올해도 실시한다. 특히 이번에는 하천 주변 주민 콧속에서 조류독소가 검출되는지를 함께 조사할 예정이다.
이는 환경단체가 낙동강 중하류 녹조 발생지 주민 콧속에서 조류독소가 검출됐다고 주장한 데 따른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컬투쇼' DJ 김태균과 즐기는 어울아트센터 '두시의 콘서트'
'젓가락 발언'에 이재명 입 열었다…"입에 올릴 수 없는 혐오, 부끄럽다"
대구 찾은 이석연 민주당 선대위원장 "이재명 뭐 잘못했길래 이렇게 푸대접 하나"
김문수+이준석 50.7%〉이재명 46.5%…거세지는 보수 단일화 요구
이준석 "추락만 남은 김문수…나만 이재명 잡는다" 단일화 데드라인 D-1 빨간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