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미 재무장관, "연준 9월 전 금리 인하 가능성"…연준 판단 기준에 이견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로이터 연합뉴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기준금리 인하 압박에도 불구하고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동결 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오는 9월까지는 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베선트 장관은 1일(현지시간) 방송된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연준이 가을까지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연준의 기준은 관세가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지지 않았다는 점에 근거하고 있다"며 "그 기준을 따른다면 더 빠를 수도 있지만, 적어도 9월까지는 금리를 내릴 것이라 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그는 "나는 연준의 그 기준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으며 "하지만 그들이 스스로 정한 기준에 충실하다면, 가을에 인하하지 않을 이유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준은 지난달 18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기준금리를 연 4.25∼4.50% 수준으로 유지한 바 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 시작 이후 네 차례 연속 동결 결정이다. 당시 연준은 물가 상승 압력과 트럼프 행정부의 대외 무역 정책, 특히 관세 부과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 등을 동결 결정의 배경으로 제시했다.

그러나 베선트 장관은 이날 인터뷰에서 "연준 이사회는 관세 문제에 대해 엇갈린 반응을 보여왔다"며 "왜 금리 인하 쪽으로 기울지 않았는지, 혹은 왜 금리 동결을 유지했는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연준이 6월 회의 이후 발표한 경제전망예측(SEP) 내용을 언급하며, "연준이 올해 말 기준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면서 동시에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낮췄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성장률을 낮췄다면, 왜 금리를 인하하지 않았는지 납득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