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폭염이 이어지는 가운데 비교적 정전에 취약한 노후아파트가 밀집한 대구에 비상이 걸렸다. 매년 무더위로 전력 사용량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정부와 지자체 차원 지원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3일 대구소방안전본부와 동구청 등에 따르면 지난 2일 오후 9시 11분쯤 동구 신천동 한 아파트에 정전이 발생, 15시간 만에 완전 복구됐다. 정전은 아파트가 준공 36년이 지난 노후 아파트여서 누전차단기가 없고 전기설비가 낡아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노후 아파트는 준공 당시 전력설비가 최근 늘어난 전력 소비를 감당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전력공사 '전력데이터 개방 포털시스템'에 따르면 대구의 지난해 여름철 가구당 전력 평균 사용량은 280.91kWh로 10년 전인 2014년(235.47kWh) 대비 19.3% 늘었다.
문제는 대구의 노후 아파트 비중이 높다는 점이다. 3일 공동주택관리 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대구 전체 공동주택 64만9천81가구 중 23%인 14만6천391가구가 30년 초과 노후 공동주택이다. 한전 전력연구원(KEPRI)은 최근 보고서에서 준공 25년이 넘은 노후 아파트의 정전 발생률이 15년 미만 아파트보다 7.4배 높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같은 문제에도 비용 문제를 든 주민 반대 등에 부딪혀 준공 당시 설비를 지금까지 유지하는 아파트도 적잖다. 지난해 수성구 지산동의 한 아파트에서도 준공 당시부터 이용하던 노후 변압기가 폭염으로 인한 전기 사용량 급증을 버티지 못하고 터지면서 대규모 정전으로 이어졌다.
전문가들은 정부나 지자체 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는 입장이다.
정태헌 국립경국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신축 아파트는 정전이 발생하면 자가발전시스템이 있어 일정 시간동안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데 노후아파트는 그런 대비책이 전혀 없다"며 "전력 수요가 급증해 변압기가 과부하되면 정전에서 그치는게 아니라 화재로 이어질 수도 있다. 정부나 지자체 차원에서 변압기 교체 사업 예산을 늘리는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안철수 野 혁신위원장 "제가 메스 들겠다, 국힘 사망 직전 코마 상태"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
'법카 의혹' 재판 연기된 李 대통령, '쌍방울 대북 송금' 재판은?
심우정 "형사사법시스템, 국가 백년대계로 설계돼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