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다문화 청소년 대학진학률 61.9%…소득·주거 환경도 개선

다문화 청소년, 고등교육 진학률 21.4%p↑…일반과 격차 절반 축소
자가 비율·소득 향상에도 단순노무직 증가, 차별 경험 여전

대봉동 웨딩거리 상점가 상인회, 다문화가정 전통혼례식
대봉동 웨딩거리 상점가 상인회, 다문화가정 전통혼례식

지난해 국내 다문화 청소년의 대학 진학률이 61.9%로 집계되며, 이전 조사보다 대폭 상승했다. 월평균 소득 300만 원 이상인 다문화 가구는 크게 늘었고, 자가 비율도 절반을 넘었다.

여성가족부는 3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1만6천14가구를 대상으로 다문화가족의 생활, 자녀교육, 사회생활, 경제활동 전반을 3년마다 조사하는 국가 승인 통계다.

2024년 다문화가족 자녀의 대학 등 고등교육기관 순취학률은 61.9%로, 2021년 40.5%에서 21.4%포인트(p) 상승했다. 이에 따라 일반 국민과의 고등교육 취학률 격차는 2021년 31.0%p에서 2024년 13.0%p로 줄었다. 다문화가족 자녀의 4년제 이상 대학 진학 희망 비율은 71.6%로, 2021년 60.7% 대비 10.9%p 증가했다.

여성가족부는 "2008년 다문화가족지원법이 제정됐고, 가족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 지원기관이 늘었다"며 "찾아가는 교육과 언어발달 지원, 이중언어 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해왔다"고 설명했다.

다문화 가구의 월평균 소득 300만 원 이상 비율은 65.8%로, 2021년 50.8%에서 15.0%p 증가했다. 300만~400만원 구간이 최초로 가장 많은 소득 구간을 차지했다. 주택 점유 형태는 자가가 56.2%로 가장 높았고, 보증금 있는 월세 20.2%, 전세 19.3%가 뒤를 이었다. 자가 비율은 이전 조사보다 소폭 올랐으며, 월세 비율은 소폭 줄었다. 한국에 15년 이상 거주한 비율도 52.6%로 2021년 대비 12.7%p 높아졌다.

반면, 근로 직종에서 단순노무직 종사 비율은 32.4%에서 39.0%로 증가해 직업 다변화의 한계가 드러났다.

가정생활과 자녀 양육환경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5세 이하 자녀 양육의 어려움을 느끼는 비율은 72.7%로 2021년보다 1.0%p 감소했고, 6~24세 자녀 양육의 어려움 비율은 78.2%로 9.9%p 줄었다. 양육의 가장 큰 어려움은 5세 이하 자녀의 경우 긴급돌봄(24.6%), 6~24세 자녀는 경제적 비용 부담(24.9%)이었다.

차별 경험률은 13.0%로 2021년 16.3% 대비 감소했으나, 차별을 겪었을 때 80.7%가 '참는다'고 답했다. 다문화가족 자녀의 최근 1년 내 차별 경험은 4.7%로, 이전 2.1%에서 두 배 넘게 늘었다.

다문화 가구의 평균 자녀 수는 0.92명, 자녀 평균 연령은 12.1세로 집계됐다.

최성지 여성가족부 청소년가족정책실장은 "다문화가족의 한국 생활 적응과 자녀의 건강한 성장 지원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19일 포항시 북구 기계면 봉좌마을에서 포항시가족센터의
지난 19일 포항시 북구 기계면 봉좌마을에서 포항시가족센터의 '이중언어 여름가족프로그램'에 참여한 다문화가정들이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포항시가족센터 제공.

하나은행은 지난 1일 베트남 어린이날을 맞아
하나은행은 지난 1일 베트남 어린이날을 맞아 '한국-베트남 어린이의 날' 행사를 진행했다고 2일 밝혔다. 베트남 다문화가정 가족들이 케이크 만들기 체험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