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3차 수련협의체 결과에 따라 전공의 복귀 규모 결정될 듯

7일 수련협의체 열고 하반기 모집 공고 나갈 예정
미필 사직 전공의를 위한 조치 관건…"9월 복귀 희망자 다수"

7일 열릴 3차 수련협의체 회의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사진은 지난달 31일 서울 중구 달개비에서 2차 수련협의체 회의가 진행되는 모습
7일 열릴 3차 수련협의체 회의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사진은 지난달 31일 서울 중구 달개비에서 2차 수련협의체 회의가 진행되는 모습". 이날 회의에 보건복지부에선 김국일 보건의료정책관과 방영식 의료인력정책과장이 참석했다. 의료계에서는 유희철 수련환경평가위원회 위원장, 김원섭 대한수련병원협의회장, 박중신 대한의학회 부회장, 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 김동건 대전협 비대위원이 자리했다. 연합뉴스

이번 주 안에 전공의 모집 일정이 확정 발표되는 가운데 오는 7일 열릴 전공의 수련협의체 제 3차 회의가 전공의 복귀를 앞두고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의정갈등 과정에서 수련을 멈춘 전공의가 얼마나 돌아올 지, 그리고 전공의들이 요구하고 있는 '수련 연속성 보장'을 정부가 어떻게 받아들일지가 결정되는 회의라 그 결과에 따라 의정갈등이 종결로 갈 지가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

3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 수련환경평가위원회는 오는 5일까지 전국 수련병원을 대상으로 하반기 인턴·레지던트 모집인원 신청을 받는다. 수련병원별 모집 신청이 이뤄지면 이르면 오는 8일, 늦어도 다음 주 초엔 병원별로 하반기 모집 공고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별개로 필수과목 레지던트 1년 차로 수련을 새로 시작하려는 이들을 위한 필기시험 원서 접수도 오는 4∼5일 이뤄진다.

16일 치러지는 필기 응시자들과 원래 수련하던 병원 복귀를 원하는 사직 전공의들은 이달 중순 이후 병원별로 함께 면접을 거친 후 9월 1일 수련을 시작할 예정이다.

의료계와 사직 전공의 내부에서는 대부분 9월에 복귀할 것으로 보는 시각이 대다수다.

한 사직 전공의는 "특혜 논란이나 불필요한 내부 반발이 있어 이를 감수해가며 복귀하는 게 맞느냐는 의견도 있는데, 대개는 9월 복귀를 생각하는 것 같다"며 분위기를 전했다.

하반기 모집 공고가 나더라도 정부와 전공의, 수련병원들이 협의해야 하는 것들이 남아있다. 대표적으로 사직 전공의들이 요구하는 '수련 연속성 보장'을 위한 조치들이다.

특히 군 미필 전공의의 경우 현재 9월에 복귀하더라도 내년이나 내후년 영장을 받으면 곧바로 입영해야 한다. 올해 군의관·공보의 입대 인원은 약 880명으로, 이번에 미필 전공의가 모두 복귀해 내년 병역 자원이 부족하다면, 복귀 전공의 중 일부는 어쩔 수 없이 수련 도중 입대할 수도 있다.

문제는 제대 후 원래 병원에 자리가 남아있을지 여부가 불확실하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군 미필 전공의들이 제대 후 자신이 하던 진료과목에서 수련을 계속 할 수 있도록 해 달라는 게 사직 전공의들의 요구다.

오는 7일 열릴 정부와 전공의 단체 등의 제3차 수련협의체 회의에선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가 집중적으로 논의될 전망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아직 결정된 것은 없다"면서도 "제대 후 원래 수련병원에 돌아올 수 있게 정원을 보장하는 것은 지난 2월과 5월 모집에도 적용됐다"며 이번에도 적용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한편, 전공의들은 근본적인 수련환경 개선을 위한 논의도 이어간다. 대한전공의협의회와 대한의사협회는 4일 국민의힘 서명옥 의원 등이 여는 정책세미나에서 안정적 수련을 위한 수련환경 개선과 수련 연속성 확보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