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구미시가 공공분야 관급계약에서 '지역업체와의 상생'을 기치로 내걸고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4일 구미시에 따르면 민선 8기 출범 이후 지역 자금의 선순환 구조 확립을 목표로 전 부문에서 지역업체 참여를 높인 결과, 관급계약 금액 기준 지역계약률이 2021년 40.9%에서 2024년 49.8%, 2025년 상반기에는 56.9%까지 상승했다.
공사 분야에서는 매년 90% 이상을 지역업체와 계약하고 있고, 지난해는 전체 계약 1천697건 중 1천582건(93%)이 지역업체 몫이었다.
시는 지난해 7월 계약 업무의 효율성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 출장소·사업소 등 12개 산하기관에서 분산 처리하던 계약을 본청으로 일원화 시켰다.
또한 사업부서와 계약부서는 발주 공사에 대해 공종별·공구별 분할 가능성을 함께 검토해 예산 편성 단계에서부터 지역제한 대상 금액으로 조정하는 등 체계적인 실행으로 관내 업체의 참여 폭을 넓히고 있다.
보조금이나 민간위탁 사업의 경우에도 '관내업체·인력 최우선 활용'을 위수탁 협약서에 명시하도록 제도화했으며, 실적은 평가에 반영되도록 해 지역자금의 외부 유출을 막는 방패막이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구미시는 실시설계부터 계약부서와 발주부서가 함께 관급자재의 지역생산 여부를 확인하고, 관내 생산품을 우선 사용하도록 지침화했다. 전 부서에 지역 자재 리스트를 공유하고 농공단지 입주업체와의 수의계약도 적극 유도한 결과, 관급계약 금액 기준 물품 지역계약률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아울러 지난달에 경북 도내 최초로 '하도급지원팀'을 신설하고, 관외업체가 주도하는 대형공사의 하도급 과정을 분석·관리해 지역업체가 실질적 수혜를 받을 수 있도록 집중하고 있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지역업체와의 계약률 향상을 통해 침체된 지역경제에 돌파구를 마련하고, 기업의 지속 성장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공정하고 상생하는 계약문화를 통해 '지역상생 실천 도시'로서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진성준 제명 국회청원 등장…대주주 양도세 기준 하향 반대 청원은 벌써 국회행
[인터뷰] 주호영 국회부의장 "절박감·전투력 없는 국힘, 민주당에 못 당해"
국힘 당권주자들, 후보 등록 후 '찬탄'도 '반탄'도 나란히 TK로
한미 관세협상 타결 영향?…李 대통령 국정지지율 63.3%
기업 옥죄는 '노란봉투법·상법·세제'…벼랑 끝에 내몰린 기업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