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와 문경시가 지난 6일 교육부의 재평가를 통해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으로 최종 지정됐다. 이번 지정으로 경북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15개 시·군이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으로 운영되며 명실상부한 특구 운영 선도 지역으로 도약했다.
7일 경북교육청에 따르면 교육발전특구 시범사업은 지자체와 교육청, 대학, 기업, 공공기관 등이 협력해 교육 혁신, 지역 인재 양성, 정주 생태계 조성 등을 지원하는 교육부의 국가균형발전 핵심 정책이다. 시범운영은 지난해부터 2026년까지 3년간 진행된다.
이번에 시범지역으로 지정된 ▷경주시는 풍부한 역사·문화 자산과 미래차·원자력 등 첨단산업 기반을 접목한 정주형 미래교육 모델을 ▷문경시는 마을교육공동체 기반 돌봄 체계, 지역 정체성 체험교육, 신산업 연계 인재 양성계획 등을 제시하며 각각 높은 평가를 받았다.
두 지역은 지난해 예비지역으로 지정되고서 경북교육청의 체계적인 컨설팅과 지원을 바탕으로 운영기획서를 보완하며 이번 재평가에서 최종 시범지역으로 선정됐다. 경주시는 선도지역으로 3년 시범운영 후 종합평가를 통해 정식 지정 여부가 결정되며, 문경시는 매년 연차 평가를 거쳐 시범지역 유지 여부를 판단 받고 3년 차에 정식 지정 여부가 결정된다.
이번 재지정으로 경북교육청은 기존 선도지역인 포항, 김천, 안동, 구미, 영주, 영천, 상주, 예천, 울진, 울릉에 경주가 추가돼 총 11개 선도지역을 운영하게 됐다. 관리지역도 칠곡, 봉화, 경산에 문경이 더해져 4곳으로 확대됐다.
경북교육청은 그간 지자체와 지역교육지원청과의 협력, 현장 중심의 점검과 컨설팅, 관계자 역량 강화 연수 등을 통해 특구 사업 추진에 힘써 왔다. 이 같은 노력의 성과로 지난 2월 포항과 봉화의 특구 운영 사례가 전국 우수사례로 선정되기도 했다.
앞으로 경북교육청은 지역 간 연계와 특화 산업을 결합한 '클러스터형 교육발전특구' 모델 구상을 통해 차별화된 특구 운영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울진·포항·울릉 등 해양 인접 지역의 연계 방안도 검토 중이다.
임종식 경북교육감은 "경주와 문경의 추가 지정으로 경북형 교육발전특구 모델이 더욱 견고해졌고, 지자체와의 긴밀한 협력 아래 지역 활성화와 정주 여건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며 "특구로 지정되지 않은 지역에 대해서도 경북미래교육지구 사업 등을 통해 균형 있는 교육환경 조성과 맞춤형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 기어이 국민 역린 건드리나"…조국 특사명단 포함에 野반발
"땡전 뉴스 듣고 싶나"…野 신동욱, 7시간 반 '필리버스터'
[매일희평] 책임지지 않는 무한 리더십
김계리 "尹, 당뇨·경동맥협착·심장병…치료 안받으면 실명 위험도"
[매일희평] 두통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