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반도체 100% 관세' 충격파…글로벌 공급망 재편·경제 전반에 확산 우려

여한구 "삼성·SK 반도체 100% 관세 없을 것"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 연합뉴스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 수입품에 대해 최대 10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화하면서,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전반에 심각한 균열이 예고되고 있다. 보호무역 강화와 기술 패권 경쟁이 겹치면서 세계 경제 전반에 구조적 충격이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국도 예외 없이 고율 관세를 맞게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정부와 업계는 불확실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 제품에 약 1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히자 글로벌 반도체 업체들은 일제히 대응 전략을 모색 중이다. 세계 최대 AI 반도체 기업인 엔비디아는 대부분의 칩을 대만 TSMC에 위탁 생산하고 있어, 관세가 현실화되면 생산 비용과 공급단가 모두 상승할 수밖에 없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최근 두 차례에 걸쳐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만나 자사 칩을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해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TSMC는 예외적으로 관세 면제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AFP 통신에 따르면 대만 류징칭 국가발전위원회 주임위원은 "TSMC는 미국에 공장을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고율 관세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밝혔다. TSMC는 애플, 엔비디아, AMD 등 미국 주요 빅테크 기업의 핵심 공급망을 담당하고 있으며, 미국 내 추가 투자도 이미 약속한 상태다.

미국의 반도체 고율 관세는 단순한 무역정책을 넘어 기술 패권 경쟁, 산업 주도권 확보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미국은 이미 철강·알루미늄·자동차 품목에 품목별 관세를 적용한 데 이어, 반도체와 의약품에도 추가 조치를 취할 방침이다.

특히 인공지능(AI), 자동차, 스마트폰 등 대부분의 산업이 반도체에 기반을 두고 있는 만큼 관세 폭탄이 현실화되면 제품 가격이 상승하고 소비가 위축되는 등 세계 경제 전체에 파급 효과가 클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에 대해 한국 정부는 향후 부과될 반도체 관세에 대비해 사전에 '최혜국 대우'를 확보했다며 진화에 나섰다. 한국은 이번 협상에서 총 4천500억달러 규모의 투자·구매 패키지를 제시하며, 상호관세와 기존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췄다.

아울러 향후 반도체·바이오 등 품목에 대해서도 가장 낮은 관세율을 적용받는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반도체 업계에선 유럽과의 협상 사례 등을 근거로 미국이 최종적으로 15% 수준의 반도체 관세를 확정할 것이란 전망에 무게를 두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