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韓 '테러 청정국' 아니다…이슬람 테러단체 조직원 검거

경기남부경찰청 전경. /경기남부경찰청 제공
경기남부경찰청 전경. /경기남부경찰청 제공

UN이 지정한 파키스탄계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단체 '라슈카르 에 타이바'의 조직원이 국내에서 붙잡혔다. 국내에서 UN 지정 테러단체의 조직원이 검거돼 구속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8일 경기남부경찰청 안보수사과에 따르면, 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 및 출입국관리법 위반 혐의로 파키스탄 국적의 40대 남성 A씨를 구속해 수원지방검찰청에 송치했다. 경찰은 국가정보원으로부터 관련 첩보를 전달받아 수사에 착수한 뒤, 서울 이태원 일대에서 A씨를 검거해 지난 2일 구속했다.

경찰에 따르면 A씨는 2020년 파키스탄 나로왈 지역에서 라슈카르 에 타이바에 가입했으며, 이후 테러단체 캠프에서 기관총, 박격포, 로켓추진유탄(RPG) 등 중화기 사용법과 침투 훈련 등을 받은 뒤 정식 조직원으로 활동한 혐의를 받고 있다. 그는 2023년 9월, 파키스탄 주재 한국 영사관에 허위 사실을 기재한 사증 신청서를 제출해 사업 목적으로 국내를 방문하는 것처럼 꾸며 비자를 발급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후 같은 해 12월 입국해 한국 내에서 은밀히 활동해 온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A씨는 입국 이후 출입국관리소를 통해 체류 기간 연장을 반복적으로 신청해왔으며, 출입국 당국으로부터 최근 9월 5일까지 출국 권고를 받은 상태였던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A씨가 라슈카르 에 타이바 조직원으로 국내에 들어와 체류하면서 공범이 존재했는지, 혹은 테러 자금 조달이나 송금 등에 연루된 정황이 있는지를 두고 국가정보원과 공조 수사를 벌이고 있다.

라슈카르 에 타이바는 1980년대 중반 결성된 이슬람 무장조직으로, 파키스탄 정보기관(ISI)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도령 카슈미르 지역에서 무장 투쟁을 벌여왔으며, 2005년에는 국제연합(UN)에 의해 테러단체로 지정됐다. 2008년 11월에는 인도 뭄바이 도심에서 연쇄 테러를 일으켜 160명 넘는 사망자를 낸 사건의 배후로 지목되기도 했다. 가장 최근에는 올해 4월, 카슈미르 지역의 휴양지인 파할감에서 발생한 총격 사건의 배후로 다시 주목을 받았다.

해당 단체는 자살 테러 방식 등 과격한 공격 전술을 사용하는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경찰은 "라슈카르 에 타이바는 이른바 '자살 테러' 방식을 쓰는 테러단체로 알려져 있다"며 "올해 10월 경주에서 예정된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국정원과 공조해 테러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현재 국내 체류 외국인은 약 273만 명으로, 통계 집계 이래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경찰은 테러 가능성과 관련한 국민의 제보를 받기 위해 '113 테러신고 전화'와 경찰청 홈페이지 내 '온라인 113 신고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