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7월 민간 아파트 분양 1만4천여가구 '역대 최대'

'6·27 대책'에 8월 입주전망지수 뚝

남산에서 본 서울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남산에서 본 서울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7월 민간아파트 분양이 1만4천여가구에 달하는 등 연중 최대치를 기록한 가운데 대구 지역은 가장 적은 물량이 공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이달에는 고강도 대출 규제를 담은 6·27 부동산 대책 여파로 이달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급락했다.

13일 리얼하우스에 따르면 7월 민간아파트 분양 물량은 1만4천109가구로 전월대비 31% 증가하며 연중 최대치를 기록했다. 정권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시공사들이 본격적인 공급에 나서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역별로는 부산(3천698가구)과 경기(3천696가구)가 전체 공급의 절반 이상(52.4%)을 차지했다. 부산은 전월(677가구) 대비 446% 급증했고, 경기는 전월(5천299가구) 대비 30% 감소하며 상반된 흐름을 보였다. 그러나 서울과 대구는 각각 82가구, 27가구만 공급되는데 그쳤다.

다음 달 6·27 부동산 대책이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분양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할 것이란 예측도 나온다.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 8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75.7로 나타났다. 이는 전월(95.8) 대비 20.1포인트(p) 낮아진 수치다.

대구도 같은 기간 95.0에서 80.0으로 15.0p 하락했고, 특히 서울은 121.2에서 76.3으로 44.9p 폭락했다.

입주전망지수는 아파트를 분양 받은 사람이 정상적으로 잔금을 지불하고 입주할 수 있는 지 예상하는 지표로 기준점(100)보다 낮으면 부정적, 높으면 긍정적 전망으로 해석한다.

앞서 새 정부 출범, 대출금리 하락, 수도권 집값 상승 등으로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6월 87.9에서 7월 95.8까지 상승했다. 그러나 6·27 부동산 대책으로 대출 규제가 강화되자 주택 거래가 주춤해 졌고, 그 여파로 입주 전망도 하락한 것으로 해석된다.

주산연은 "작년부터 시행된 분양 아파트 잔금대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적용에 더해 주택담보대출 한도 6억원 제한 및 전세대출을 통한 잔금 충당 금지 등 규제가 즉각 시행됐을 뿐 아니라 수요 억제를 중심으로 한 향후 부동산 정책 기조에 대한 우려가 부정적 전망을 불러온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