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AI에 대체 안 되는 정책지원관 육성한다"

행안부, 25~26일 전국 워크숍 세종서 개최
1천671명 한자리…제도 도입 후 첫 행사

행정안전부와 기획재정부가 입주한 정부 세종청사 중앙동의 모습. 2024.8.12. 홍준표 기자
행정안전부와 기획재정부가 입주한 정부 세종청사 중앙동의 모습. 2024.8.12. 홍준표 기자

정부가 '인공지능(AI)에 대체되지 않는 지방의회 정책지원관' 육성을 위해 25일부터 26일까지 정부세종청사에서 전국 정책지원관 워크숍을 연다.

25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번 워크숍은 정책지원관 제도 도입 이후 처음으로 전국 정책지원관이 한자리에 모이는 행사다. 전국 지방의회에서 근무하는 정책지원관 1천671명을 대상으로 한다.

정책지원관은 지방의회의원의 의정활동을 지원하는 일반직 공무원으로, 지방의회 전문성 강화를 위해 2022년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으로 도입됐다. 지난 연말 기준 전국 지방의회에 총 1천671명이 근무 중이다.

행안부는 작년 9~10월 진행한 4개 권역별 간담회에서 타 지역 정책지원관과의 교류를 원한다는 의견을 반영해 이번 워크숍을 기획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간담회가 당일 진행돼 토의 시간이 부족했다는 지적을 고려해 1박 2일로 진행한다.

첫날인 25일에는 경기도의회 최명순 정책지원팀장이 사례를 바탕으로 AI의 업무 활용 방법을 강의한다. 행안부 담당자는 지방의회법 제정 등 정책지원관 관련 새정부 국정과제와 제도 개선 과제를 공유한다.

둘째 날인 26일에는 분임토의를 진행한다. AI를 통한 의정활동 혁신과 지방의회법 제정 등 첫날 논의 주제뿐 아니라 정책지원관으로서의 업무고충과 노하우도 자유롭게 공유한다.

워크숍 종료 후 행안부는 토의 결과를 전체 지방자치단체에 공유해 직접 참석하지 않은 정책지원관도 워크숍 내용을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박연병 행안부 자치분권국장은 "전국 정책지원관이 최초로 한자리에 모인다는 점에서 이번 워크숍은 의미가 크다"며 "지방의회의 두뇌인 정책지원관이 일 잘하고 주민에게 신뢰받는 지방의회를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