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與 '계엄 동조' 공세에 국힘 소속 광역지자체 '거센 반발'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DB.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DB.

더불어민주당 등 여권에서 제기한 '12·3 비상계엄 동조 의혹'에 대해 국민의힘 소속 광역자치단체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경상북도는 26일 입장문을 통해 "비상계엄과 관련해 청사를 폐쇄하거나 계엄에 동조한 적이 없다는 것을 분명히 밝힌다"고 했다. 또 "경북도 청사는 울타리가 없는 개방형 청사"라며 "업무공간인 본관 건물 등은 평상시에도 야간에는 보안 및 방범 차원에서 출입 관리시스템이 작동하게 돼 있다"고 덧붙였다.

경북도에 따르면 도청 청사는 평소에도 사전 발급된 출입증을 통해 출입이 가능하다. 출입증을 소지하지 않을 경우엔 신분 확인 절차를 거쳐 출입을 허용한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난해 12월 3일 당시에도 신분 확인을 거친 뒤 청사 출입을 허용했다.

도는 계엄이 선포 도청 실·국장 대상 비상간부회의를 긴급 소집했다. 다만, 국회 의결로 계엄이 해제된 직후 이철우 도지사 명의의 입장문을 배포했다. 이 도지사는 입장문을 통해 "계엄이 해제돼 다행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도 관계자는 "경북도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도민들의 안전과 재산을 보호하는 것을 제1의 책무임을 깊이 인식하고 앞으로도 민생을 챙기는 데 만 전념할 예정"이라고 했다.

서울시도 김 의원의 발언에 거세게 비판했다. 김병민 서울시 정무부시장은 전날 입장문을 통해 "서울시는 청사를 폐쇄한 적이 없다. 시는 정해진 내규에 따라 평소에도 심야에는 출입을 제한하며, 출입증을 패용한 경우에만 출입을 허용한다"고 밝혔다.

또 "김병주 의원 등 민주당은 정확한 사실 확인도 거치지 않고 가짜뉴스를 유포하고 있다"며 "특검 수사를 이용해 정치적 이득을 취하겠다는 얄팍한 노림수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강원특별자치도도 26일 입장문을 내고 "계엄 선포 직후 청사출입 보안강화를 실시했을 뿐 외부인의 출입을 전면 차단하거나 청사를 봉쇄하는 등 청사 폐쇄는 논의하지도, 지시하지도 않았다"고 반박했다.

앞서 지난 25일 더불어민주당 3대 특검 종합대응특위 소속 김병주 의원은 전체회의에서 "언론 보도에 따르면 서울·강원·인천·대구·경북 등 지자체가 계엄 직후 청사를 폐쇄하고 비상대책회의를 열었다. 행정안전부를 통한 청사 폐쇄 명령이 있었던 만큼 이들 지자체장이 계엄에 동조한 것 아니냐는 수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