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암살범 용서" 찰리 커크 부인 추모식 연설서 수만 군중 박수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CNN "에리카의 강력한 연설…추모식 중 가장 감정적 순간"
남편이 창립한 단체 이끌겠다는 의지 내세우며 연설 마무리

리조나주 피닉스 교외 글렌데일의 스테이트팜 스타디움에서 열린 찰리 커크 추모식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대통령과 찰리 커크의 아내 에리카 커크가 추모하고 있다. 연합뉴스
리조나주 피닉스 교외 글렌데일의 스테이트팜 스타디움에서 열린 찰리 커크 추모식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대통령과 찰리 커크의 아내 에리카 커크가 추모하고 있다. 연합뉴스

암살된 미국 강경 우파 진영 청년활동가 찰리 커크의 부인 에리카 커크(36)가 21일(현지시간) 열린 추모식에서 남편을 살해한 범인을 용서한다는 뜻을 밝히고 남편의 활동 유지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AFP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에리카 커크는 이날 애리조나주 피닉스 교외 글렌데일의 스테이트팜 스타디움에서 열린 추모식 연단에 올라 "나의 남편 찰리는 자신의 생명을 앗아간 사람과 같은 청년들을 구하고 싶어 했다"고 말했다.

이어 남편을 살해한 총격범 타일러 로빈슨의 이름을 언급하지 않은 채 "그 젊은이를 용서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게 바로 그리스도가 하신 일이며 찰리도 그렇게 했을 것"이라며 "증오에 대한 답은 증오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에리카는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가 했던 말을 인용해 "하느님 아버지, 저들을 용서해주소서. 저들은 자신들이 하는 일을 알지 못합니다"라고도 했다.

에리카는 "젊은이들을 고통과 죄악의 길에서 벗어나게 해줄 곳이 필요하다"며 남편이 창립한 우익성향 정치단체 '터닝포인트 USA'를 계속 이끌어가겠다는 의지를 표하는 것으로 연설을 마무리했다.

에리카의 연설은 추모식에 참석한 수만 명 청중의 큰 호응을 끌어냈다.

미국 CNN 방송은 이날 추모식에서 청중의 가장 강력한 반응을 끌어낸 인물이 에리카라면서 에리카가 총격범을 용서한다고 말한 순간을 이번 추모식에서 가장 감정을 자극하는 장면으로 꼽았다.

청중이 에리카의 연설을 숨죽이며 듣다가 큰 박수를 보내기도 했다고 현장 분위기를 전하기도 했다.

앞서 에리카는 지난 18일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와의 인터뷰에서도 로빈슨을 '길 잃은 영혼'으로 표현하며 남편의 죽음이 "하나님의 계획이라고 굳게 믿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많은 이들이 '그 사람에게 분노를 느끼나. 사형을 원하나'라고 물었지만, 솔직히 나는 변호사에게 정부가 이 문제를 결정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면서 "그 사람의 피를 나의 장부에 올리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에리카는 인터뷰에서 커크가 유타주로 캠퍼스 강연을 떠나기 전 남편에게 방탄조끼를 입으라고 간청했다고도 회고했다. 그의 친구들은 커크에게 방탄유리 뒤에서 연설하라고도 조언했다고 한다.

하지만 커크는 "아직은 아니다"라고 말하며 이런 제안을 거절했다고 에리카는 전했다.

에리카는 남편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계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찰리는 그에게 아들과 같은 존재였다"고 말했다.

이어 남편의 죽음 뒤 '계속 조언을 구해도 되겠느냐'는 자신의 요청에 트럼프 대통령이 "물론이다"라고 답했다고 전했다.

한편, 터닝 포인트 USA를 창립한 커크는 동성애와 낙태를 반대하고 총기 보유를 옹호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열성 지지층인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진영의 핵심 인물로 떠오른 청년 활동가로, 지난 10일 미국 유타주 유타밸리대 강연 도중 총에 맞아 숨졌다.

암살 용의자로 붙잡혀 기소된 로빈슨은 범행 동기와 관련해 "난 그의 증오(hatred)에 질렸다. 어떤 증오는 대화로는 해결이 안 된다"고 자신의 룸메이트에게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