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한복'을 검색하면 '한푸'와 함께 소개되는 다양한 상품들이 발견돼 논란이다.
2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추석을 맞아 많은 네티즌들이 제보를 해 줬다"며 "'중국 스타일 한복' 등으로 판매하는 건 정말로 어이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서 교수는 "중국풍 옷을 당연히 판매할 수 있다"며 "하지만 '한복'과 '한푸'는 엄연히 다른 의상이기에 명확히 구분을 해서 판매해야 한다"고 전했다.
그는 "대형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플랫폼만 제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그렇다 하더라도 꾸준한 모니터링을 통해 이러한 일들이 벌어지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였어야만 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국내에서의 이러한 상황들은 중국에게 또 하나의 빌미를 제공하기 때문"이라며 "최근 몇 년간 중국 누리꾼은 '한복'이 '한푸'에서 유래했다는 억지주장을 펼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복 원조 논란은 중국이 꾸준히 억지 주장을 펼치면서 불거지고 있다.
중국의 최대 포털사이트 바이두 백과사전에서는 한복을 '조선족 복식'으로 소개하고 있으며, 과거 샤오미의 스마트폰 배경화면 스토어에서 한복을 '중국문화'로 소개해 큰 논란이 된 바 있다.
서 교수는 "우리의 한복을 전 세계에 널리 알리는 일도 중요하지만 국내에서 발생한 한복의 오류를 바로 잡는 일도 굉장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문제가 발견된 이번 국내 온라인 쇼핑몰들은 빠른 시일 내에 한복과 한푸를 반드시 분리해서 판매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댓글 많은 뉴스
'조희대 청문회' 48.9% "부적절"…장동혁, 차기 대통령 적합도 18.3%로 1위
민주당·정부 "배임죄 폐지 기본방향으로 정해"
김혜경 여사, 이석증으로 어지럼증 호소…한일정상회담 동행 않기로
李대통령 "군 장병 처우 개선…국방예산 66.3조원 편성"
검찰청 폐지 여파…김건희특검 파견검사 40명 전원 '복귀'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