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추석 한복=中 한푸?' 국내 온라인몰 버젓이 판매 논란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한복과 한푸가 같은 옷이라며 국내 온라인몰에서 버젓이 판매되고 있어 논란이다. 서경덕교수 제공
한복과 한푸가 같은 옷이라며 국내 온라인몰에서 버젓이 판매되고 있어 논란이다. 서경덕교수 제공
한복과 한푸가 같은 옷이라며 국내 온라인몰에서 버젓이 판매되고 있어 논란이다. 서경덕교수 제공
한복과 한푸가 같은 옷이라며 국내 온라인몰에서 버젓이 판매되고 있어 논란이다. 서경덕교수 제공

국내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한복'을 검색하면 '한푸'와 함께 소개되는 다양한 상품들이 발견돼 논란이다.

2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추석을 맞아 많은 네티즌들이 제보를 해 줬다"며 "'중국 스타일 한복' 등으로 판매하는 건 정말로 어이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서 교수는 "중국풍 옷을 당연히 판매할 수 있다"며 "하지만 '한복'과 '한푸'는 엄연히 다른 의상이기에 명확히 구분을 해서 판매해야 한다"고 전했다.

그는 "대형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플랫폼만 제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그렇다 하더라도 꾸준한 모니터링을 통해 이러한 일들이 벌어지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였어야만 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국내에서의 이러한 상황들은 중국에게 또 하나의 빌미를 제공하기 때문"이라며 "최근 몇 년간 중국 누리꾼은 '한복'이 '한푸'에서 유래했다는 억지주장을 펼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복 원조 논란은 중국이 꾸준히 억지 주장을 펼치면서 불거지고 있다.

중국의 최대 포털사이트 바이두 백과사전에서는 한복을 '조선족 복식'으로 소개하고 있으며, 과거 샤오미의 스마트폰 배경화면 스토어에서 한복을 '중국문화'로 소개해 큰 논란이 된 바 있다.

서 교수는 "우리의 한복을 전 세계에 널리 알리는 일도 중요하지만 국내에서 발생한 한복의 오류를 바로 잡는 일도 굉장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문제가 발견된 이번 국내 온라인 쇼핑몰들은 빠른 시일 내에 한복과 한푸를 반드시 분리해서 판매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