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풍 석포제련소가 풍력과 태양광을 결합한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본격 추진하며 '친환경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속 상승 중인 전력료에 대응하고, 탄소중립 시대에 부합하는 ESG 경영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다.
영풍은 13일 국내 대표 풍력발전 기업 유니슨㈜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경북 봉화군 산악지대에 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기로 했다.
풍력 발전에 최적의 입지 조건을 갖춘 봉화 지역의 지형적 특성을 활용해, 향후 4.3㎿급 풍력발전기 10기를 설치하는 43㎿ 규모의 발전단지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 안으로 석포제련소 인근에 풍황계측기를 설치하고, 1년간 풍속·풍향 데이터를 분석하는 동시에 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한다. 완공 후 연간 약 8만2천㎿h의 전력을 생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영풍은 유니슨의 풍력터빈 설계·제조 기술과 대형 프로젝트 경험을 결합해 발전 효율성과 운영 안정성을 극대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영풍은 풍력에 이어 태양광 발전도 병행 추진 중이다. 석포제련소 내 전담 TFT를 신설하고, 2공장과 3공장 사이 약 14만㎡(4만2천평)의 유휴부지에 4~5㎿급 태양광발전소를 건립한다.
완공 시 연간 약 7천㎿h의 전력을 생산해 공장 내 일부 공정에 자체 공급할 계획이다.
이 같은 신재생에너지 확대는 정부의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전환 정책'과도 맥을 같이하며, 영풍이 2021년 이후 지속 추진해온 친환경 혁신 과제의 연장선상에 있다.
영풍은 이미 2021년 세계 제련업계 최초로 '폐수 무방류(ZLD, Zero Liquid Discharge)' 시스템을 구축, 공정 폐수를 100% 재활용하고 외부 유출을 완전히 차단했다.
또한 제련소 외곽 2.5㎞ 구간에 지하수 확산방지시설을 설치해 하루 450t우기 시 최대 1천200t)의 지하수를 정화·재이용하고 있으며, 대기질 개선을 위해 산소공장과 오존설비 신설 등 4천억원 이상을 투자해왔다.
영풍 관계자는 "풍력과 태양광 발전사업은 단순한 에너지 확보를 넘어,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에 부응하고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ESG 투자"라며 "지속 가능한 제련산업 모델을 실현하기 위한 친환경 전환을 가속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봉화지역의 새로운 친환경 에너지 거점 조성과 동시에 지역 일자리 및 경제 활성화에도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댓글 많은 뉴스
숨진 양평 공무원 메모 공개되자, 특검 "실제 유서 아냐…강압조사 없었다"
한국 첫 투자처로 포항 선택한 OpenAI, 뒤에 포스코 있었다
'김현지 국감 출석' 여야 공방…"진실 밝혀야" vs "발목잡기"
추미애 위원장, 조희대 질의 강행…국힘 의원들 반발
숨진 양평 공무원 유족측 "유서도 아직 못봤다…부검 원치 않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