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JD 밴스 美 부통령 "미군, 가자 주둔은 안해"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이스라엘과 하마스 휴전 합의 이행 감시"
미군, 카타르에 중부사령부 기지 배치중
트럼프 "美 내 일부 혼란, 내란법 발동 필요 못 느껴"

JD 밴스 미국 부통령. 연합뉴스
JD 밴스 미국 부통령. 연합뉴스

미국은 가자지구에 미군을 파견하는 등 직접 개입은 원치 않는다고 밝혔다. JD 밴스 미국 부통령은 12일(현지시간) 미군이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휴전 합의 이행을 감시하겠지만, 가자지구에 직접 주둔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행정부 입장을 재확인했다.

밴스 부통령은 이날 ABC뉴스 인터뷰에서 "이스라엘과 가자에 병력을 배치하는 게 우리의 의도나 계획은 아니다"라며 "하지만 우리는 이 평화가 지속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감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미 중부사령부에 배치된 군인들이 휴전 합의를 감시할 것"이라며 발표한 후에 "그건 이스라엘군이 합의한 경계선까지 철수하는지, 하마스가 무고한 이스라엘인들을 공격하지 않는지, 우리가 만든 평화가 실제로 지속되고 오래 가는지 보장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포함한다"고 설명했다.

현재 미군은 카타르에 중부사령부 기지를 두고 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중부사령부가 휴전 합의 지원을 위해 약 200명의 병력을 파견할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파견 병력의 정확한 위치를 공개하지 않았다.

또, 그는 NBC뉴스와의 인터뷰에서는 인도네시아와 중동 아랍국가 등 무슬림 인구가 과반인 국가들이 평화 유지에 필요한 지상군을 보내겠다고 제안했기 때문에 미국이 군인을 주둔시킬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더불어 트럼프 행정부가 민주당 성향 도시에 주방위군을 보내기 위해 내란법 발동을 검토하냐는 질문에 "대통령은 지금 모든 선택지를 들여다보고 있지만 (내란법을 발동할) 필요를 느끼지 못했다"고 답했다.

다만, "민주당 소속 시장이 이끄는 도시들에서 범죄가 통제 불가능한 수준이라 주방위군을 투입해 법을 집행할 수밖에 없다"며 "내란법이나 우리가 실제로 그걸 발동할 지가 지금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편, 미국에서는 군대를 정부 당국의 비군사적 법 집행에 동원해서는 안 되지만, 내란법은 법에 명시된 특정 조건에 한해 대통령에게 군대를 국내에서 동원할 권한을 부여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