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서울시 국감 與 '한강버스' 맹공…오세훈 "문제 없다"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국회 국토위 국정감사서 안전성·사업구조 지적 잇따라

21일 운항을 재개한 한강버스가 서울 여의도 선착장을 향하고 있다. 한강버스는 서울·경기지역 집중호우로 팔당댐 방류량이 늘자 전날 하루 운항을 임시 중단한 바 있다. 연합뉴스
21일 운항을 재개한 한강버스가 서울 여의도 선착장을 향하고 있다. 한강버스는 서울·경기지역 집중호우로 팔당댐 방류량이 늘자 전날 하루 운항을 임시 중단한 바 있다. 연합뉴스

2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서울시 국정감사에선 오세훈 서울시장의 역점사업인 '한강버스'를 향한 여당 의원들의 공세가 집중됐다.

취항 열흘 만에 고장 등 문제로 시민탑승 운항을 중단한 데 대한 안전성 우려뿐 아니라 시 재정 부담이 과도한 사업 구조와 관련한 지적이 잇따랐다.

천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한강버스 시범운항 TF 운영 당시 발전기 방전에 대한 지적이 있었는데도 고쳐지지 않아 정식 운항 때도 고장을 유발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시범운항 때 고장 사항에 대한 조치 자료를 서울시에 달라고 했더니 민간사업자(주식회사 한강버스) 추진 사항이라 자료가 없다고 답했다"면서 오 시장이 안전 사항을 제대로 챙기지 않고 정식 운항 결정을 내렸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오 시장은 "총체적으로 안전상 문제없다고 보고받았다"면서 "(한강버스 참여업체) 이크루즈가 선박 운항의 기술적 노하우를 갖고 있어 세부적인 고장 등은 실무자 차원에서 확인할 일"이라고 답했다.

이연희 민주당 의원은 한강버스 중 전기추진체로 작동하는 일부 선박과 관련해 "배터리가 물에 취약하고 열폭주 위험이 크다"며 "여름 폭염 시기에도 안전한지 시험했나"라고 질의했다.

같은 당 신영대 의원도 "시범운항 당시 자료를 보니 배터리 화재 진화가 어려운 분말소화기만 비치돼있고 화재 시 연쇄 폭발을 막기 위해 상방향으로 폭발을 유도한다고 돼 있다"며 "위쪽에 승객이 탄 선실이 있는데 상방향 유도라는 것이 이해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에 박진영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은 "선박에 쓸 수 있는 것 중 가장 안전한 배터리를 썼고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등을 통해 여러 차례 기술적으로 안전하다고 확인했다"며 "화재 대응 매뉴얼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 시장은 "한강버스 12대 중 4대가 배터리 전기 추진체인데 국내에서 최초가 아니라 다른 사례가 있다"면서 "각별히 신경 쓰겠다"고 밝혔다.

이건태 민주당 의원은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가 한강버스에 담보 없이 876억원을 대출했다며 "지방공기업법 위반이자 배임 소지가 있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전용기 의원은 SH가 은행으로부터 500억원을 대출받는 과정에서 컴포트 레터(comfort letter)를 써줬다면서 "한강버스가 망하면 선박을 SH가 다 사고 빚을 갚아준다고 보증을 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오 시장은 "담보는 없지만 법적으로 상환받을 방법이 다 강구돼있다"면서 "저희 판단으로는 운항 2∼3년 후부터는 충분히 흑자가 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한강버스를 '오 시장의 꿈을 이루기 위한 사업'이라고 한 여당 의원 발언에는 "시장 개인의 정치적 목적을 위한 것이라고 전제하시는데, 한강 근처에 사는 분만 아니라 전 시민이 가까이서 한강을 만끽할 기회를 고루 드리는 게 필요하다고 판단해서 시작한 사업"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