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온라인 경마 마권 급증 속 '불법 리딩방' 난립…마사회 관리 부실 드러나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공식 승인 사칭한 업체 비닐하우스 주소 등록
IP 추적도 포기한 마사회 "최소 정보만 수집"

한국마사회 본관. 매일신문 DB
한국마사회 본관. 매일신문 DB

온라인을 통한 경마 마권 구매가 급증하고 있으나 이를 관리해야 할 한국마사회의 감독이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일부 업체는 마사회 승인을 받았다고 허위 홍보하며 불법 영업을 이어가고 있었고, 등록된 주소가 비닐하우스인 경우도 확인됐다.

2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서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마사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오프라인 마권 구매 건수는 6만5천562건, 당첨금은 4조5천547억원에 달했다. 올해는 9월 기준으로 6만2천682건(당첨금 3조4천425억원)이 집계됐다.

반면 온라인 구매는 급증했다. 지난해 1만3천805건(4천982억원)이던 온라인 마권 구매 건수는 올해 1~9월에만 2만2천902건(6천948억원)으로 늘었다. 이는 기존 오프라인 구매자 상당수가 온라인으로 이동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문제는 관리 공백이다. 온라인 마권 구매가 합법화된 2023년 12월 이후 마사회는 단 한 차례도 온라인 경마방 실태를 점검하지 않았다. 올해 들어서야 불법 유사 행위 업체를 세 차례 조사했을 뿐이다. 불법 행위 차단의 핵심인 구매자 IP 추적 역시 내부 방침을 이유로 시행하지 않았다. 마사회는 "최소한의 정보만 수집한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더 심각한 것은 불법 정보 제공업체 확산이다. 서 의원 측이 확인한 결과 네이버·구글·다음 등 주요 플랫폼에는 '한국마사회로부터 데이터를 공식 지원받는다'고 주장하는 업체가 다수 존재했다. 그러나 대부분 마사회 내부 자료에는 등록조차 돼 있지 않았다. 일명 '불법 리딩방'으로, 한 업체는 사업자 등록 주소를 비닐하우스로 신고한 사실도 드러났다.

서 의원은 "온라인에서는 정부 공식 인증을 사칭하며 불법 정보를 판매하는 업체가 버젓이 영업 중"이라며 "마사회는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단속 권한을 위임받은 기관으로서 즉시 불법 업체를 적발하고, 상시 관리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