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와 자동차 등 주력 품목의 수출 호조로 지난 9월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29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월간 흑자 규모는 역대 두 번째로 컸다.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국제수지(잠정) 통계에 따르면 9월 경상수지는 134억7천만달러(약 19조4천억원) 흑자를 기록했다. 8월(91억5천만달러)보다 43억2천만달러, 지난해 같은 달(112억9천만달러)보다 21억8천만달러 늘어났다. 월간 기준으로는 2017년 6월(139억달러)에 이어 역대 두 번째 규모다. 9월만 놓고 보면 사상 최대 흑자다.
1∼9월 누적 경상수지 흑자는 827억7천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672억3천만달러)보다 약 23% 늘었다. 신승철 한국은행 경제통계1국장은 "반도체가 슈퍼사이클에 진입하면서 수출이 크게 증가했고, 자동차도 미국 외 지역으로 수출이 다변화되며 선방했다"며 "한미·미중 관세협상 우려 완화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상품수지 흑자는 142억4천만달러로 9월 기준 2017년 이후 최대였다. 수출은 672억7천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9.6% 늘었다. 반도체(22.1%)·승용차(14.0%)·화학제품(10.4%)·정밀기기(10.3%)·무선통신기기(5.3%) 등이 증가세를 이끌었다. 반면 컴퓨터 주변기기는 13.5%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동남아(21.9%), EU(19.3%), 일본(3.2%)으로의 수출이 늘었고, 미국(-1.4%)은 감소했다.
수입은 530억2천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4.5% 증가했다. 국제유가 하락으로 원유(-13.3%)·석유제품(-9.8%) 등 원자재 수입은 감소했지만, 반도체 제조장비(11.6%) 등 자본재 수입이 12.2%, 승용차 등 소비재 수입이 22.1% 늘었다.
서비스수지는 33억2천만달러 적자로, 전월(-21억2천만달러)보다 확대됐다. 운송수지가 5개월 만에 적자로 돌아섰고, 지식재산권 사용료수지 적자도 8억5천만달러로 늘었다. 반면 여행수지 적자는 9억1천만달러로 전월보다 개선됐다.
신 국장은 "10월에는 추석 연휴로 조업일수가 줄어 흑자 폭이 다소 줄겠지만, 반도체 수출 호조와 유가 안정세를 고려하면 연말까지 양호한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댓글 많은 뉴스
택배 멈춘 새벽, 시작도 못 한 하루…국민 분노 치솟는다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원전 재가동 없이는 AI 강국도 없다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실핏줄 터졌다"는 추미애…주진우 "윽박질러서, 힘들면 그만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