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 대구경북의 광공업생산이 작년보다 늘며 제조업 중심의 생산 활동이 활기를 보였다. 고용 지표도 상승세를 유지했지만 소비와 건설 부문은 부진해 지역 산업의 온도 차가 더 뚜렷해졌다.
17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가 발표한 '2025년 3분기 지역경제동향'에 따르면 대구의 광공업생산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9.0% 올랐다. 반도체·전자부품이 37.0%, 전기·가스업이 65.4% 증가하며 성장세를 이끌었다. 경북도 금속가공제품 23.1%, 의료·정밀 42.0% 등이 늘어 3.4% 상승했다.
서비스업생산은 대구가 1.6% 증가했다. 도매·소매 7.5%, 보건·복지 5.6%가 확대됐지만 부동산(-6.9%), 정보통신(-8.4%)이 감소했다. 경북은 전문·과학·기술 11.7%, 보건·복지 3.8% 증가로 1.4% 올랐다.
소매판매는 대구가 5.3% 증가했다. 승용차·연료소매점 17.4%, 전문소매점 4.0%가 늘었으나 대형마트(-9.4%), 백화점(-3.1%)은 줄었다. 경북은 승용차·연료소매점 11.7% 증가에도 슈퍼마켓·잡화점·편의점(-7.2%), 전문소매점(-3.6%) 감소로 0.9% 낮아졌다.
건설수주는 대구가 3.9% 증가했다. 도로·교량 등 토목이 34.2% 늘었지만 주택 등 건축이 0.4% 줄었다. 경북은 토목이 11.0% 증가했음에도 건축이 49.9% 급감하며 27.5% 감소했다.
수출은 대구가 14.2% 상승했다. 기타 유기·무기화합물 88.6%, 전기·전자 기타제품 64.0%가 늘었다. 반면 일반기계류(-28.4%), 반도체 제조용 장비(-52.4%)는 감소했다. 경북은 무선통신기기 23.1%, 비철금속 20.6%가 증가했지만 방송기기(-22.4%), 기타 유기·무기화합물(-32.4%) 감소로 6.4% 줄었다.
수입은 대구가 18.2% 증가했다. 기타 무기화합물 56.0%, 기타 전기기기 34.9%가 늘었고 운반 하역기계(-65.5%), 알루미늄(-13.3%)은 감소했다. 경북은 비철금속 광 34.0%, 비철금속 설 17.6%가 증가했지만 기타 무기화합물(-48.9%), 석탄(-30.9%) 감소로 13.8% 줄었다.
고용률은 대구가 58.1%로 0.1%포인트(p) 상승했다. 15∼29세가 2.8%p, 40대가 1.0%p 올랐고 30대와 50대는 각각 1.6%p, 1.4%p 낮아졌다. 경북은 66.3%로 1.5%p 상승했다. 15∼29세 3.1%p, 30대 3.0%p 증가가 영향을 미쳤다. 실업률은 대구가 2.6%로 0.2%p 하락했다. 경북은 1.9%로 0.1%p 상승했다.
소비자물가는 대구가 1.8% 올랐다. 외식 제외 개인서비스 2.7%, 외식 2.7%가 상승했고 공공서비스와 집세는 각각 0.7%, 0.2% 낮아졌다. 경북은 외식 제외 개인서비스 2.5%, 가공식품 4.7% 상승으로 1.9% 올랐다.





























댓글 많은 뉴스
대장동 일당 변호인조차 "항소 포기 상상도 못해…김만배 가장 이익"
대법 "아파트 주차장 '도로' 아냐…음주운전해도 면허취소 못해"
"항소포기로 7천800억원 날아가"…국힘, 국정조사 촉구
떠나는 길 꽃달고 활짝 웃은 노만석…'항소 포기' 설명은 없었다
李대통령 지지율 54.5%…'대장동 항소포기' 논란에 3주 만에 하락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