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역 돈가뭄 심각

지역사회에 때아닌 돈가뭄으로 중소기업체와 토초세를 내야하는 지주들에 비상이 걸렸다.이같은 돈가뭄비상은 계속된 사정한파로 돈흐름이 왜곡된 가운데 불경기와현대사태까지 겹쳐 지역자동차부품업계등 중소업체의 자금수요가 늘어난데다1천억원대에 이르는 토지초과이득세와 택지초과부담금이 이달부터 다음달까지 일제히 부과돼 일시적 자금수요 폭발현상을 빚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현대사태 장기화로 4백여곳의 지역자동차부품업계마다 조업단축등 경영난에허덕이면서 자금난을 겪고 있으나 금융기관의 대출은 쉽지않아 고리의 사채를 쓰는등 어려움이 심화되고 있다.

P사경우 시중은행으로부터 2억원을 연리12%의 노사분규지원자금명목으로 대출받았으나 추가지원을 호소하고 있다.

1억4천만원의 은행대출을 약속받았던 중소업체대표 김모씨(40)는 담보부족으로 4천만원밖에 대출받지 못했다.

지역자동차부품업계나 중소업체들은 중앙정부차원서 저리의 정책자금을 지원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기업들의 자금수요에다 1천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는 토지초과이득세(7월)와 택지초과소유부담금(8월)이 일제히 부과, 9월부터 납부해야 돼 돈구하기는 더욱 어려울 전망이다.

택초부담금경우 지난달 2백평이상 택지나 대지에 대해 예정통지서가 발송됐는데 부유층이 많이 몰린 대구 남.수성구청이 3백-4백여건에 각각 50억원안팎,서.달서구청은 2백여건 30억-40억원, 나머지구청관할은 1백여건 10억-15억여원의 부담금이 나왔다.

대구지방국세청과 일선구청관계자들은 "어려운 경제여건으로 자금구하기가쉽지 않은데다 고액의 토초세와 택초부담금이 부과되는 바람에 이같은 돈가뭄현상은 빚어질 수 밖에 없을 것"이라며"일부에서는 현금대신 물납으로도 대신할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돈가뭄 현상속 기업들의 자금수요가 늘어나자 일부 금융기관서는 정부당국이 불공정금융거래행위로 금지하고 있는 대출이자 선취행위까지 자행해기업들에 부담을 안겨주고 있어 당국의 적절한 자금공급은 물론 이에대한 조치도 요망되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