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실명제가 발표되면서부터 제조및 유통업체들의 최대관심사는 거래관행의변화에 따른 세무문제에 집중됐다. 돈의 흐름이 노출될수밖에 없는 실명제하에서는 무자료거래가 어려워지고 덩달아 세금부담도 가중된다는 것이다.물론 비자금조성도 예전처럼 쉽지 않은데다 자금난에대한 불안감도 있지만지역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은 자금문제보다 거래관행의 변화에 당혹감을 표시하고있다. 중소기업사정상 비자금조성은 큰 문제가 아닌데다 자금조달에대한불안심리는 각종 지원정책으로 어느정도 가신탓이다.실명제시대를 향한 지역 업체들의 대비책도 당연히 거래관행의 전환에 쏠리고 있다.
아직까지는 이른바 현금박치기의 수법으로 일부 무자료거래가 이뤄지고있지만 더이상 예전처럼 계속할수 없다는 인식이 확산되고있다. 게다가 현금박치기식 거래를 하다보면 '누구는 얼마에 팔더라'는 식으로 헐값판매를 요구, 덤핑판매의 악순환을 견뎌내기 어렵다는 자성도 생겨나고있다.지역주종산업인 섬유업계 중견기업인은 이렇게 말한다.
"내수시장에대한 자료양성화를 주장하려면 결국 품질개발외에 다른 방법이없다. 경쟁업체보다 나은 제품을 만들지 않고서는 무자료요구를 막아낼 재간이 없지않은가"
내수 시장에서 유통되는 상당수 제품이 무자료로 거래돼온 것은 관행에 따른결과이기도하지만 근본적으로는 품질자체에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이다.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는 제품이라면 당당히 자료를 요구하고서도 제값을 받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지금까지는 아예 장부정리조차 제대로 하지않던 소기업들이 회계업무에 눈을뜨고있는 것도 실명제시대의 새로운 모습이자 한 대응책이다. 주먹구구식 장부정리로는 자금흐름을 밝히기도 어려운데다 자금조달을 어렵게하기 때문이다.접대비나 영업활동비의 지출을 신용카드로 제한하는 업체가 차츰 늘어나는것도 실명제의 한 결과다. 또 예전같으면 회사돈을 주머니돈으로 여기던 모습에도 변화가 일어나고있다.
그러나 지역 대부분의 기업들은 우선 세제 개편을 요구한다. 현행 세율을 그대로 고집하는한 거래관행의 전환이나 분명한 자금관리는 그림의 떡이라는 주장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