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총리경질과 후속인사

문민정부 제2기 나각의 얼굴이 바뀌었다. 줄곧 요직개편을 부인해오던 김영삼대통령이 이회창감사원장을 새총리로 전격발탁함에 따라 금명간 대폭적인개각도 예상된다. 이번 {12.16}총리경질은 황인성내각에 대한 문책과 함께 쌀개방결정 이후의 흐트러진 민심수습과 집권2기에 대비한 2중포석으로 그 의미를 찾을수있다.이번 총리경질에서 황총리가 왜 10개월만에 퇴진할수밖에 없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신임 이총리의 책무가 막중함을 새겨봐야 할 것이다. 그간 황내각은나름대로 기여한바가 없지는 않지만, 국정운영의 능력면에서 많은 문제점을드러냈음도 부인키 어렵다. 특히 팀워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숱한 잡음을 일으킨점은 변명의 여지가 없다. 공직사회의 기강해이로 인한 각종 대형사고의 연발, 일부각료의 축재의혹과 자질시비, 경제팀의 불협화음, 통일관계장관들의 혼선야기등은 지탄의 대상이 됐던 것이다.

게다가 우루과이 라운드(UR)협상과정에서 보인 위기대처능력 부재와 국민을기만한 부정직성 논란은 이런 인물들이 어떻게 나라살림을 맡고있는지 의아하게 만들기도 했다. 한술 더 떠 사태가 악화일로로 치닿는데도 누구하나 책임지겠다고 나서는 사람이 없었다는데서 국민의 실망을 증폭시켰음도 사실이다.

이제 이총리가 해야할 일이 무엇인가에 기대와 관심이 쏠리고 있다.감사원장 재임동안 보여줬던 청렴 강직한 성품을 바탕으로 해이된 기강확립에 앞장서는 일도 중요하다. 또 UR협상 타결이후 더욱 치열해진 국제현실속에서 국가경쟁력을 강화하는 것 역시 시급하다. 그러나 무엇보다 우선돼야 할과제는 신뢰받는 나각으로 자리매김하는 일 일것이다.

총리경질에 따른 개각에도 우리의 관심은 크다. 어차피 새로 짜야 할 진용이라면 유능한 인재의 적재적소 기용이 이루어져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이 인선과정에서 김대통령은 이총리와의 충분한 협의를 통해 총리의 의견을최대한 반영해주어야 할 것이다. 비록 대통령중심제라 하더라도 대통령이 총리의 위상과 역할을 높여주지않는한 효율적인 내각통솔은 기대할수 없기 때문이다.

총리경질은 내각뿐만아니라 민자당과 청와대의 당직및 참모진의 교체도 불가피하게 만들고 있다. 이 또한 원활한 국정운영을 위해 신중한 인선이 요구된다. 특히 당직개편에 있어서는 계파를 초월한 합리적 인사가 이루어져야 할것이다. 인사가 만사라는 김대통령의 소신이 이번에는 빗나가지 말기를 기대하면서 후속인사를 지켜보고자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