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광복50돌 일재잔재 쓸어낸다

경북도는 광복 50주년을 맞아 일제시대 민족 정기말살 정책에 따라 변경된행정구역 명칭과 지명을 모두 우리 고유 지명으로 환원하고 풍수지리설에 근거, 일본인들이 산에 박았다는 쇠말뚝을 찾아내 제거키로하는등 민족정기 회복 작업을 대대적으로 벌이기로 했다.전국에서 처음으로 경북도가 실시하는 고유 지명 되살리기 사업은 해당지역공무원들이 총동원돼 서적이나 주민증언을 토대로 대상지를 선정한후 '향토사학자 지명위원회'를 만들어 최종 대상지를 확정하게 된다.이 방침에 따라 도는 2월 한달간 시군청및 읍면동에 주민 제보 접수창구를설치, 지명 변경에 관한 제보를 받는 한편 전담 공무원들이 현 지형도상의직원을 기초자료로 해 개명 대상 지명을 찾아내기로 했다.

김천시 구성면 하원리의 경우 원래 명칭이 상좌원리였으나 일본인들이 이곳에서 독립운동가가 많이 배출되자 지명을 격하시킨 것으로 주민 청원에 의해83년 상좌원리로 환원된 바 있다.

의성군 다인면 덕이리 비봉산은 원래 자미산이었으나 일본 관리가 풍수지리상 이곳은 봉황이 알을 품고있는 형상(인재가 많이난다)이라는 이유로 산명을 봉황이 날아갔다는 의미의 비봉산으로 정해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다.영덕군 축산면 대곡리 국사당산의 경우 일본인들이 지기를 없앤다는 이유로쇠말뚝을 박았다는 인근 주민들의 주장에 따라 도가 진상확인에 나서는 한편쇠말뚝은 곧 제거할 계획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개명 대상지가 적어도 수백군데가 될것으로 예상하고 민족정기 확립차원에서 일제가 만든 지명을 모두 우리 이름으로 환원할수 있도록지역민들의 협조를 당부했다.

행정구역명칭 환원작업은 지방자치법 4조에 따라 읍면동은 내무부장관의 승인을 받아 시군 조례로 변경하게 되며 이동은 시군 조례개정 으로 변경할수있도록 돼 있다.

도는 이번 작업을 4월20일까지 끝낸다는 방침아래 '지명심의 경북도지방위원회'심의를 거쳐 중앙위원회에 보고할 예정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