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세대교체 해석 제각각

정치권에서는 김영삼정부출범이후 가장많이 통용되면서도 개념이 모호한용어로 '민주화' '국제화' '세대교체'를 지적하고 있다. 이중 '세대교체'개념은 정당별로 시각차가 확연하다. 특히 민자당내에서조차 계파나 중진에 따라 달리 해석되고 있다. 정치인자신에게 유리하게만 이를 적용하려는 경향이농후하다.세대교체논란은 나이분류인지 구정치인과 정치신인들간의 구분인지 정치적인식의 차이인지 그리고국회의원에 해당되는지 대권주자들에게 적용되는지하는 내용상에서부터 인위적이냐 선거를 통한 자연스런 교체냐등 방법론에이르기까지 다양하기만 하다. 현재 민자당론은 김영삼대통령이 천명한 '노,장, 청년의 조화'로 압축된 느낌이다.

○…김윤환대표는 대권주자와 국회의원공천자들을 각각다르게 바라보고있는편이다. 대권부분에 있어서는 세대교체를 '3김청산'의 깃발을 드는 것으로 대신하고 있다. 정가에서는 김대표의 이같은 발상은 결국 김대중새정치국민회의총재와 김종필자민련총재를 겨냥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이에 비해 국회의원들에 대해서는 절충형을 구상하고 있다. 구정치인들에게 식상한 국민들의 인식을 의식하지 않을 수없는 만큼 신진인사영입도 박차를 가하는 대신기존의 경륜과 경험을 지닌 현역정치인과 구여권거물인사들의 영입도 중요하다는 점을 피력하고 있다. 다만 서울등 대도시지역과 대구경북등의 보수성향지역등을 엄연히 구분해야 한다는 생각이다.당조직책선정 실무책임자인 최재욱조직위원장은 "야당이면 젊은 학생들도공천하면 되지만 여당은 각분야의 대표적인사들을 뽑을 수 밖에 없으며 그러다보니 나이가 40대후반이나 50대에 몰리고 있다"고 청년층발탁의 어려움을토로.

○…민정계중진인 이한동국회부의장은 인위적인 세대교체반대를 외치면서대권주자로의 논리를 강화하고 있다.

6·27지방선거이후 침묵을 지켜오던 그는 6일 모주간지와 인터뷰에서 세대교체와 관련, "한마디로 주민등록상의 나이를 따지는 식으로 신뢰를 거론하는 것은 맞지 않는 얘기"라며 "정치인이나 정치권의 교체는 결국 선거를 통한 국민의 선택권에 맡겨야 될 일이라고 본다"고 주장했다.환갑나이에다 민정당시절부터 정치활동을 해온 4선의 자신도 세대교체대상이 될수도 있다는 우려를 불식시키기위한 의도로 보여진다.특히 그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어느 지역 출신이건 대통령이 될 수 있다는게 민주주의의 대원칙일 것"이라며 "영남대통령이 계속 나와야 한다는 주장은 국민통합을 위해서도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며 자신을 중심으로한 '중부권역할론'을 거듭강조했다.

○…이에비해 김덕룡의원을 비롯 민주계일부세력들은 인위적인 물갈이를통한 세대교체를 부르짖고 있다. 이는 국회의원뿐만아니라 대권주자까지도포함시키는듯 하다. 이들과 친분이 있는 이영희여의도연구소소장은 6일 당강연회에서 "진정한 새정치의 주역은 새로운 인물 새로운세대가 되어야 한다"면서 "정치적세대교체는 주어지는 것이 아니고 차세대 스스로의 힘과 노력으로 이뤄내야 한다"고 역설했다. 민주당과 '정치개혁시민연합'그리고 '젊은연대'는 3김청산과 기존정치권전체의 물갈이를 주장하는등 이들과 일맥상통하고 있다.

물론 민주계내에서도 세대교체를 모두 원하지는 않는 듯한 인상이다. 43세의 강삼재사무총장의 전격기용에대해 최형우의원과 신상우의원등 부산지역을중심으로한 민주계노장인사들이 민정계의원보다 더 충격을 받았다는 소문도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