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안동호 유호지 不法경작

"수질보호냐-생계우선이냐"

수질보호와 수몰민 생계보존중 무엇을 우선해야 할 것인가.안동댐사무소는 최근 금지된 호수내 유휴지 불법 경작문제를 두고 단속을 해야할지 못본척 해야할지 속앓이를 하고 있다.

안동댐사무소는 호수수질보호 강화차원에서 올해부터 과거 행정기관에 위탁관리해오던 유휴지를 직접 관리키로 하고 경작허용선을 해발 1백52m이상으로 한정했다.

그이하 지역 유휴지는 47개의 알림판과 경고팻말을 세우고 경작은 절대 불허한다는 방침을 천명하고 있다.

그러나 경작금지구역인 안동시 도산면 서부단지와 분천동등지 유휴지에는 예년과 다름없이 수만평이 경작되고 있다.

이곳은 농사에 유익한 양질의 퇴적물이 쌓여 토양이 비옥한데다 광활한 평야를이뤄 장마기 수침만 피한다면 경작조건으로는 최적지여서 과거부터 외지인에의한 기업형 농사가 지어져오던 곳.

언뜻 생각하기엔 인근지역 수몰민의 생계문제와는 무관한듯 싶지만 여기서의수몰민들은 일당 3만~5만원에 날품을 팔아 중요한 생계수단으로 삼는 경우가많아 상당한 연관을 맺고 있다.

안동댐사무소는 이점 때문에 불법경작을 알면서도 제대로 단속을 못하고 있는데 담당직원은 딱한 사정을 뻔히 아는터라 차마 경작지를 갈아엎지 못하고 있다 고 말했다.

이같은 상황을 두고 그럴수 있다는 긍정론과 수질보호는 물론 정부기관의 공신력유지 차원에서도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부정론이 기울어짐 없이 분분하다.

최근 한탄강 물고기 떼죽음 사건을 기화로 주요하천, 호수 수질보호문제가 국정주요현안으로까지 대두된 양상이라 유휴지 불법경작에 대한 안동댐사무소측의딜레마는 더욱 심각하기만 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