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말 입주가 시작된 대구시 달서구 대곡지구엔 지금까지 3천4백여가구,1만1천여명이 삶의 새둥지를 틀었다. 동네이름 큰골(大谷) 처럼 입주자들은 커다란 희망을 품었다. 그러나 희망은 실망으로 바뀌었고 심한 분노마저 출렁이고 있다.
실망의 가장 큰 원인은 교통난. 입주할 때까지 도로도 제대로 만들어 놓지 않았다는게 말이 됩니까. 주민불편은 아랑곳 않고 입주만 시키면 된다는 식으로일을 처리한 주공과 대구시에 빠떼루 를 줘야 해요 . 승용차로 출-퇴근하는주공7단지 지상연씨(31)의 남편은 어김없이 오전6시에 집을 나선다. 대동시장방면 도로가 출퇴근 시간이면 거대한 주차장으로 변해 버려 이 시간이 아니면옴짝달싹 못한다고 했다.
날마다 대곡지구 교통정리에 진땀을 빼는 달서경찰서 김창식 교통지도계장(36)은 대곡지구를 호로병에 비유했다. 입주자가 1만1천여명이나 되는데도 대곡지구 진입도로는 중심부로 연결되는 대동시장쪽 편도1차로 도로와 서쪽 고려자동차 정비공장 옆 1차선 너비의 대곡교뿐이다. 더욱이 대곡교는 교행이 불가능해2천여대가 넘는 차량들이 대동시장쪽 도로에만 몰려든다. 병목현상이 빚어지고출-퇴근시간 때마다 심한 몸살을 앓는다.
대구시는 당초 왕복 10차로의 진천천 복개도로를 건설키로 했으나 아직 40%정도 공정에 그치고 있다. 대구시 종합건설본부 관계자는 복개도로는 94년12월부터 건설계획을 수립했으나 보상이 늦어져 공사가 지연됐다 고 했다. 그러나주민들은 내년 6천5백가구, 다음해 1천2백가구가 또 입주, 교통지옥이 계속 될것이라고 심각한 걱정이다.
대곡지구에 들어오는 버스노선도 327,321번 둘밖에 없다. 인구 6천명당 1개 노선꼴로 주민수에 비해 버스가 턱없이 부족하다. 6단지 김영자씨(57.여)는 버스가 잘 다니지 않아 시장 등 볼일을 보는데 애로가 많다 며 얼마전엔 귀가하기위해 택시를 탔으나 택시기사가 나올때 손님이 없다 며 요금을 더 달라고 했다 고 말했다. 달서구청은 주민들이 이용하기 편리한 35번 버스를 대곡지구에운행하도록 대구시에 건의했으나 시는 좌석버스만 배차시켜 시민편의를 외면한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