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테크노 파크 단일안 합의

"[연구 메카]이룰 모형만들자"

테크노파크(Technology Park)형 연구단지 사업유치를 두고 그동안 갈등양상을 보여왔던 경북대와 영남대가 지역유치와 사업성공을 위해 22일 대구.경북 단일안 마련에 합의했다.매일신문이 최근 테크노파크 특집란을 통해 단일안 마련 발등의 불 외국의 성공사례 경북대 및 영남대의 전략 등을 집중 보도한 이후 15일만에 얻어진 가시적 결과다.

단일안 마련 없이는 유치가능성이 희박하고 유치 후 연구인력과 행정지원력 부족 등으로 실패할가능성이 높다는 본지 지적과 함께 대구시.경북도 및 대구효성가톨릭대 등 주변 대학들이 단일안마련을 적극 요구, 극적인 합의를 보게됐다.

경북대 박찬석(朴贊石).영남대 유창우(柳昌佑) 총장이 최종 선정과정에서 양 대학이 모두 탈락할경우 대학구성원과 지역민들로부터 쏟아질 비난을 의식, 단일화 작업을 서두른 것도 합의도출의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양 대학의 합의로 테크노파크 유치 준비가 끝난 것은 아니다. 테크노파크 지역유치를위해서는 성공가능성이 높은 테크노파크 모형을 만들어 주도대학.대구시.경북도.지역정치권 중심의 범 협의체를 구성, 본격적인 유치운동에 나서야 한다.

전문가들은 테크노파크 유치와 정부지원금을 노린 졸속 단일안 도출이 아니라 명실이 부합하는한국형 테크노파크 안의 마련을 강조하고 있다.

이들이 말하는 이상적인 대구.경북 테크노파크 추진모형은 대학주도-지자체 지원형 이나 대학주도-기업체참여-지자체지원-중앙정부 촉진형 이다. 운영방식은 제3섹터형 이 적합한 것으로보고있다.

또 대구(권) 연구중심 대학에 중앙센터 건물과 본부법인을 두고 주변 대학에 일부 특화센터 기능을 분산, 초고속 통신망을 통해 연구과제와 정보를 교류하는 집중분산형(Network Type)이 운영에 효율적이고 성공 가능성도 높다고 말한다. 단 특화센터는 풍부한 연구인력과 기자재를 갖춘대학으로 소수.정예화 해야한다는 것.

대구.경북지역 19개 4년제 대학과 23개 전문대를 모두 참가시킬 경우 전 지역의 테크노파크화가이루어져 연간 50억원의 정부지원금을 나눠먹는 식이 될 공산이 크다는 지적도 있다.명확한 추진주체 설정과 함께 기술하부구조 구축(부지와 건물확보)에 유리한 지역을 선정, 센터를설치하는 방안도 필수적 요구조건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