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합리화나 사업다각화를 위한 기업결합이 해마다 크게 늘고 있다.
4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기업결합건수는 3백93건으로 95년보다 20.9%%가 증가했다.기업결합은 91년 1백54건, 92년 1백49건, 93년 1백23건으로 계속 줄어들다 94년 1백95건, 95년 3백25건으로 94년 이후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이뤄진 기업결합 가운데 30대 기업집단의 기업결합 비중은 28%%로 이중 삼성이 17건으로 가장 많고 LG 8건, 효성 7건, 대우·금호 각각 6건, 한진·한보·한라 각각 5건 등의 순이었다.
30대 그룹 이외의 기업집단에서는 아남산업이 9건으로 가장 많았고 신호와 진도가 각각 7건, 화승, 수산중공업 각각 6건 등이었다.
기업결합 방법으로는 주식취득이 40.5%%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는 회사신설 33.1%%, 합병16.1%%, 영업양수 6.4%%, 임원겸임 4.0%% 등의 순이었다.
또 피결합회사를 기준으로 한 기업결합 유형을 보면 제조업이 1백60개사로 40.2%%로 93년의72%%, 94년의 50%% 등에 비해 낮아지긴 했지만 여전히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정보통신과방송분야 10.6%%, 금융 10.1%%, 도소매와 유통이 9.3%%, 건설 9.3%% 등이었다.한편 기업결합 주체를 보면 자산규모 1천억원 이상인 대기업이 전체의 65.3%%를 차지한데 비해피결합회사는 자산규모 1천억원 미만의 회사가 87.1%%나 돼 주로 대기업이 중소기업을 흡수하는형태로 기업결합이 이뤄진 것으로 분석됐다.
이밖에 주식의 공개매수 등 적대적 기업 인수·합병(M&A)은 지난 94년 2건, 94년 4건이었으나지난해에는 6건으로 늘어났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