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DJT연합에 "무효화돼야" 여론 드세

"대구·경북주민"

김대중(金大中)국민회의총재, 김종필(金鍾泌)자민련총재, 박태준(朴泰俊)의원등 3인이 연대하는 소위 DJT연합과 관련, 대구경북지역에서는 '지역대표성과 정서를 무시한 야합'이라며 이를 성토하는 분위기가 가득하다.

또 이들 3인의 연대가 '권력나눠먹기를 위한 담합'이라는 비판과 함께 집권에 성공할 경우 자리다툼에서 비롯된 국정혼란, 내각제개헌과정의 혼란등 각종 부작용이 예상돼 이를 무효화해야한다는 여론이 거세다.

지역민들은 지난해 총선에서 대구에서만 자민련후보를 8명이나 당선시키고 지난 7월 포항북보선에서 박태준후보에게 표를 몰아준 것은 이같은 권력야합을 위해서가 아니라는 주장이다.김종필자민련총재는 권력분점을 위해 충청지역은 물론이고 지역민의 여론이나 지역출신 의원들의의사에 대한 충분한 수렴과정없이 국민회의와의 밀실회의끝에 이같은 결정을 내렸고, 박태준의원은 지역구의 격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3인연대에 참가했다는게 비판의 요점이다.공무원 김모씨(50)는 "DJP연합합의문에 양김이 대통령, 총리를 나누어 하고 99년말까지 내각제개헌을 하겠다는 것도 국민의 주권를 명백하게 침해하는 행위"라고 말했다.

지역정가에서는 DJT연합으로 인해 지역정서가 정치혐오감만 가중시켜 반DJ성향으로 돌아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하기도 했다. 또 DJT후보가 집권할 경우 2년3개월짜리 단명대통령이 돼국정운영의 안정성이 훼손되는 것은 물론이고 집권직후부터 내각제개헌논의가 시작돼 또다시 사회불안의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이러한 분위기를 반영하듯 자민련대구경북지부와 박태준의원의 사무실에는 DJT담합을 무효화하라는 시민들의 항의전화가 빗발쳤다.

양김총재는 27일 밤 야권단일화에 합의했고 28일 박태준의원이 가세하는 3자가 회동, DJT연대에사실상 합의했다.

〈朴炳宣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